엘 나스
엘나스 | ||
엘나스는 그림의 왼쪽 상단에 있다.(β)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황소자리 베타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황소자리 112 | |
밝은 별 목록 | HR 1791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35497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77168 | |
소천성표 | BD +28° 795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25428 | |
다른 이름 | 엘 나스, 알나스, FK5 202, CCDM 05263+2836, GC 668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황소자리 | |
적경(α) | 05h 26m 17.51312s[1] | |
적위(δ) | 28° 36′ 26.8262″[1] | |
겉보기등급(m) | 1.65[2] | |
절대등급(M) | −1.42[3]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9.2 km/s[4] | |
적경 고유운동 | +22.76 mas/년[1] | |
적위 고유운동 | −173.58 mas/년[1] | |
성질 | ||
광도 | 700 L☉[5] | |
나이 | 1억 ± 1000만 년[6] | |
분광형 | B7 III[7] | |
U-B 색지수 | −0.49[2] | |
B-V 색지수 | −0.13[2] | |
추가 사항 | ||
질량 | 5.0 ± 0.1 M☉[6] | |
반지름 | 4.2 R☉[8] | |
표면온도 | 13,824 ± 475 K[8] | |
표면 중력 (log g) | 3.65[9] | |
항성 목록 |
엘나스[10] 또는 황소자리 베타(β Tau)는 겉보기 등급 1.65로 황소자리에서 두 번째로 가장 밝은 별이다.(알파별은 알데바란) 이 별은 지구로부터 134 광년 떨어져 있으며 화학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보이는 분광형 B7의 거성이다.
항성 이름
[편집]이 별에는 바이어 명칭으로 황소자리 베타와 마차부자리 감마 두 개가 있다. 프톨레미는 엘나스를 마차부자리 구성원으로 넣었으며 요한 바이어는 마차부자리와 황소자리 두 영역에 모두 포함시켰다. 1930년 현대 별자리의 영역이 확립되면서 '마차부자리 감마' 명칭은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11]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애칭 엘나스(엘 나스 또는 알나스)는 아랍어 단어 النطح (안-나스, '황소의 두 뿔')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수(전부는 아님)의 아랍어 항성명칭처럼 관사 ال는 문자 그대로 엘(el)로 번역되지만, 이 관사는 아랍어 발음에서 뒤에 오는 n에 동화되어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항성 명칭을 '나스'로 줄여 부를 수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들을 정리하고 표준화 할 목적으로 산하에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했다.[12] WGSN은 2016년 7월 공식 인증된 항성명칭 목록을 최초로 공표했고 엘나스 또한 여기에 포함되었다.[13]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엘나스는 필수(畢宿)에서 오거(五車, 다섯 수레)에 속해 있다. 오거는 엘나스, 마차부자리 이오타, 카펠라, 마차부자리 베타, 마차부자리 세타로 이루어져 있다.[14] 이 중 엘나스를 단독으로 부르는 명칭은 오거오(五車五)로 '오거 중 다섯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15]
특징
[편집]엘나스의 절대등급은 -1.34로 같은 별자리에 있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구성원 중 마이아와 비슷하다. 마이아처럼 엘나스 역시 B 분광형의 거성으로 밝기는 태양광도의 700 배이다.[5] 엘나스는 주계열 단계를 떠나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로, 주계열 시절에 비해 부피는 커졌으나 표면 온도는 내려간 상태이다.[16] 다만 엘나스는 지구로부터 130 광년 떨어져 있어 거의 세 배 가까이 먼 마이아(360 광년)보다 우리 눈에 더 밝게 보인다.
엘나스는 수은-망가니즈 항성으로 자기장 활동이 나타나지 않으며 스펙트럼상 몇몇 무거운 원소들의 특징이 강렬하게 나타나 화학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보여준다.[9] 엘나스는 대기 중 망간의 함량 비율이 태양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높지만 칼슘과 마그네슘이 차지하는 비율은 태양보다 작다.[5][17] 이 별의 스펙트럼에는 수은의 특징이 그다지 강하게 드러나지 않으나 실리콘과 크로뮴의 존재는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일부 논문 저자들은 엘나스에 'SrCrEu 별' 또는 'Ap 별' 분광형을 부여하기도 했다.[18][19]
엘나스는 천구상 은하반중심방향으로부터 수 도 떨어진 곳에 있는데 이 곳에는 M36, M37, M38처럼 성운 및 성단이 다수 자리잡고 있다.[20] 가끔 달이 별을 가리기도 하는데 이런 엄폐 현상은 2007년의 경우처럼 달의 승교점이 춘분점 근처에 있을 때 발생한다. 엘나스는 달의 엄폐영역 중 북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엄폐는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다. 다만 드물게 캘리포니아주 남단에서도 관측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21]
동반천체
[편집]동반천체로 추정되는 어두운 별이 엘나스에 가까이 붙어 있다. 안시이중성 BD+28 795B도 있는데 이 별의 위치각은 239도이며 주성(主星)으로부터 33.4 초각 떨어져 있다.[22][23]
엘나스의 갈색왜성 및 행성 동반천체를 찾는 과정에서 더 가깝고 어두운 별 여섯 개를 찾아냈지만 이들 모두 중력으로 묶이지 않아 단순한 배경 천체로 보인다.[24]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Vizier catalog entry
- ↑ 가 나 다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0. Bibcode:2002yCat.2237....0D.
- ↑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 ↑ Evans, D. S (1967).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Determination of Radial Velocities and their Applications》 30: 57. Bibcode:1967IAUS...30...57E.
- ↑ 가 나 다 Kaler, James B., 《ELNATH (Beta Tauri)》, University of Illinois,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Janson, Markus; 외. (August 2011), “High-contrast Imaging Search for Planets and Brown Dwarfs around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Solar Neighborhood”, 《The Astrophysical Journal》 736 (2): 89, arXiv:1105.2577, Bibcode:2011ApJ...736...89J, doi:10.1088/0004-637X/736/2/89
- ↑ Garrison, R. F; Gray, R. O (1994). “The late B-type stars: Refined MK classification, confrontation with stromgren photometry, and the effects of rotation”. 《The Astronomical Journal》 107: 1556. Bibcode:1994AJ....107.1556G. doi:10.1086/116967.
- ↑ 가 나 Underhill, A. B.; 외. (November 1979), “Effective temperatures, angular diameters, distances and linear radii for 160 O and B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89 (3): 601–605, Bibcode:1979MNRAS.189..601U, doi:10.1093/mnras/189.3.601
- ↑ 가 나 Ghazaryan, S; Alecian, G (2016). “Statistical analysis from recent abundance determinations in Hg Mn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60 (2): 1912. Bibcode:2016MNRAS.460.1912G. doi:10.1093/mnras/stw911.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Ian Ridpath. “Bayer’s Uranometria and Bayer letters”. 201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中國星座神話, 陳久金.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2011-01-30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확인.
- ↑ Knyazeva, L. N; Kharitonov, A. V (2000). “The Normal Energy Distributions in Stellar Spectra: Giants and Supergiants”. 《Astronomy Reports》 44 (8): 548. Bibcode:2000ARep...44..548K. doi:10.1134/1.1306355.
- ↑ Heacox, W. D. (1979). “Chemical abundances in Hg-Mn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41: 675. Bibcode:1979ApJS...41..675H. doi:10.1086/190637.
- ↑ Chen, P. S; Liu, J. Y; Shan, H. G (2017). “A New Photometric Study of Ap and Am Stars in the Infrared”. 《The Astronomical Journal》 153 (5): 218. Bibcode:2017AJ....153..218C. doi:10.3847/1538-3881/aa679a.
- ↑ Bychkov, V. D; Bychkova, L. V; Madej, J (2009). “Catalogue of averaged stellar effective magnetic fields - II. Re-discussion of chemically peculiar a and B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94 (3): 1338. Bibcode:2009MNRAS.394.1338B. doi:10.1111/j.1365-2966.2008.14227.x.
- ↑ “Deep Auriga”. 2018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Skywatcher's Diary”. Abrams Planetarium. 2007년 8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CCDM (Catalog of Components of Double & Multiple stars (Dommanget+ 2002)”. 《Vizie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 “Al Nath”. Alcyone Bright Star Catalogue. 2010년 3월 7일에 확인함.
- ↑ Janson, Markus; Bonavita, Mariangela; Klahr, Hubert; Lafrenière, David; Jayawardhana, Ray; Zinnecker, Hans (2011). “High-contrast Imaging Search for Planets and Brown Dwarfs around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Solar Neighborhood”. 《The Astrophysical Journal》 736 (2): 89. arXiv:1105.2577. Bibcode:2011ApJ...736...89J. doi:10.1088/0004-637X/736/2/89.
외부 링크
[편집]- (영어) Jim Kaler's Stars (짐 케일러의 항성 정보): Eln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