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차가가
곤차가 가문 (Gonzaga)은 1328년부터 1708년까지 북부 이탈리아에 있는 만토바를 통치했던 귀족 가문이다. 그들은 또한 피에몬테의 몬페라토와 프랑스의 느베르를 지배했었으며, 유럽 전역에 많고 작은 영지들을 가졌다. 가문 구성원 중에는 성인 한 명과 12명의 추기경, 14명의 주교이 있었다. 또한 두 명의 신성 로마 제국의 황비(엘레오노라 곤차가, (엘레오노라 곤차가느베르)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여왕(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를 배출해냈다.
역사
[편집]가문 구성원 중 최초의 핵심 인물은 폴리로네 수도원의 수도사들과 함께 구엘프 세력과 협력한 것으로 알려져있다.[1] 12세기를 시작으로, 곤차가 가문은 동맹인 보나콜시 가문의 부의 증가와 전통적인 적대 가문인 카살로디(Casalodi) 가문을 물리쳐내면서, 만토바의 지배 가문이 되었다. 하지만 1328년에 루도비코 1세 곤차가가 스칼라 가문의 도움을 받아, 만토바에 대한 보나콜시 가문의 군주권을 찬탈하였으며, 만토바의 카피타노 델 포포로(민중대장)이자 루트비히 4세 황제의 대리로서 기벨린 세력에 붙었다.[2]
루도비코는 구이도(1360-1369)에게 자리를 물려줬고, 다시 그는 루도비코 2세(1369-1382)에게 물려졌으며, 반면 1371년까지 레조의 군주였던 펠트리노는 1728년까지 지속됐던 국가인 노벨라라 백국의 곤차가 가문 방계 가문을 형성했다. 프란체스코 1세(1382-1407)는 베네치아 공화국과 힘을 나란히 성장시키기 위해, 밀라노의 비스콘티와의 전통적인 동맹을 배신했다.
1433년, 잔프란체스코 1세는 지기스문트 황제에게서 만토바 후작 지위를 수여받았으며, 반면 다른 지역의 귀족들로부터는 그의 딸이 1435년에 페라라 후작 레오넬로 데스테와 혼인을 하면서 인정되었다. 1530년에 페데리코 2세(1500–1540)는 만토바 공작 지위를 받았다. 1531년에 곤차가 가문은 결혼을 통해서 몬페라토 변경백국을 획득했다. 모계 조상들을 통해서, 곤차가 가문은 또한 일찍히 몬페라토의 지배 가문이였던 팔라이올로고스 가문의 비잔티움 제국의 황실 가계도 물려받았다.
만토바 곤차가 가문의 방계 가문은 페데리코 2세 공작과 마르게리타 팔레올로가(Margherita Paleologa)의 어린 아들인 루이지(루이) 곤차가 때 느베르와 레텔의 공작이 되었다. 곤차가느베르 가문은 나중에 만토바 계승 전쟁를 계기로, 루이의 아들 찰스(카를로)가 만토바와 몬페라토를 상속하면서, 다시 만토바를 지배한다.
또다른 방계 가문은 최초의 독립 백작이자 나중에 구아스탈라 공작들이 되었다. 그들은 만토바 공작 프란체스코 2세의 아들인 페란테(1484–1519)에게서 내려왔다. 페란테의 손자인 페란테 2세 역시도 만토바 계승 전쟁에서 역할을 맡았다. 먼 방계 가문으로는 루도비코 3세의 아들인 잔프란체스코가 창시한 사비오네타 공작 가문이 있다.
샤를 곤차가느베르 대공의 딸인 루드비카 마리아 곤차가는 1645년부터 사망하는 1667년까지 폴란드의 왕후였다.
엘레오노라 곤차가(Eleanora Gonzaga)같은 이름을 지닌 가문의 두 여식은 놀랍게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와 페르디난트 3세와 혼인하여 신성 로마 제국 황비가 되었다. 후자의 엘레오노라 곤차가는 당시의 곤차가 후손의 후계자였다.
성 알로이시오 곤차가는 곤차가 가문의 작은 가계 출신이였다.
곤차가 가문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햄릿》의 영감을 주었다. 3막 2장에 곤차고의 살인자(The Murder of Gonzago)라는 가상의 연극이 등장한다.
곤차가 가문은 1708년까지 만토바를 통치했고 구아스탈라에서는 1746년까지 이어졌다. 두 지배 가문은 모두 단절되었고, 곤차가 가문의 책임권은 페데리코 1세의 아들인 조반니(Giovanni)에게서 갈라져 나온 베스코바토(Vescovato) 가문 계열에게 넘어갔다. 이 방계는 군주권을 잃었지만 현존하고 있다.[3]
가계도
[편집]곤차가 가문의 가계도이며, 만토바의 후작과 공작들은 볼드체, 느베르와 레텔의 공작들은 이탈릭체로 구아스탈라 계열은 오른쪽에 나타냈다.
잔프란체스코 만토바 후작 1407-1444 | |||||||||||||||||||||||||||||||||||||||||||||||||||||||||
루도비코 3세 만토바 후작 1444–1478 | |||||||||||||||||||||||||||||||||||||||||||||||||||||||||
페데리코 1세 만토바 후작 1478–1484 | |||||||||||||||||||||||||||||||||||||||||||||||||||||||||
프란체스코 2세 만토바 후작 (1484–1519) | |||||||||||||||||||||||||||||||||||||||||||||||||||||||||
Margaret Paleologa Marquises of Montferrat | 페데리코 2세 Marq. (1519–30), Duke (1530-40) | 에르콜레 주교 (1521) 추기경 (1527) | 페란테 1세 구아스탈라 공작 (1539–1557) | ||||||||||||||||||||||||||||||||||||||||||||||||||||||
프란체스코 3세 (1540–1550) | 굴리엘모 1세 (몬페라토에서는 굴리에모 10세) (1550–1587) | Louis of Nevers (1581–1595) | 체사레 1세 구아스탈라 공작 (1557–1575) | ||||||||||||||||||||||||||||||||||||||||||||||||||||||
빈첸초 1세 (1587–1612) | Charles III of Nevers a.k.a. Carlo I of Mantua (1627–1637) | Ferrante II 1st. Duke of Guastalla (1575–1630) | |||||||||||||||||||||||||||||||||||||||||||||||||||||||
프란체스코 4세 (1612) | 페르디난도 1세 (1612–26) | 빈첸초 2세 (1626–27) | Cesare II 구아스탈라 공작 (1630–1632) | ||||||||||||||||||||||||||||||||||||||||||||||||||||||
Maria of Mantua (1609-1660), m. Charles of Nevers | Carlo II (1637-1665) | 페란테 3세 구아스탈라 공작 (1632-1678) | |||||||||||||||||||||||||||||||||||||||||||||||||||||||
Ferdinando Carlo (1665-1708) | 안나 이사벨라 (1678-1692) | 마리아 비토리아 (1659-1707) | Vincenzo 구아스탈라 공작 (1692-1702) | ||||||||||||||||||||||||||||||||||||||||||||||||||||||
Eleonora Luisa (1686-1741) m. Francesco de' Medici | Antonio Ferrante Duke of Guastalla (1702-1729) | Giuseppe 구아스탈라 공작 (1729-1746) | |||||||||||||||||||||||||||||||||||||||||||||||||||||||
같이 보기
[편집]참고 서적
[편집]- Brinton, Selwyn (1927). 《The Gonzaga. Lords of Mantua》. London: Methuen.
각주
[편집]- ↑ Page at sapere.it
- ↑ Brunelli, Roberto (2010). 《I Gonzaga. Quattro secoli per una dinastia》. Mantua. ISBN 978-88-89832-98-1.
- ↑ “GONZAGA: LINEA PRINCIPESCA DI VESCOVATO”. 《Libro d'Oro della Nobiltá Mediterranea》 (이탈리아어). Società Genealogica Italiana. 2004년 3월 15일. 2012년 5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