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광주광역시

광주
光州廣域市
광역시
시기 휘장
광주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광주
광주
북위 35° 09′ 34″ 동경 126° 51′ 09″ / 북위 35.15944° 동경 126.85250°  / 35.15944; 126.85250
행정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행정 구역5구
청사 소재지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시장강기정(더불어민주당)
지리
면적501.24 km2
인문
인구1,424,305명(2023[1]년)
인구 밀도2,876.13명/km2
상징
시목은행나무
시화철쭉
시조비둘기
지역 부호
지역번호062
웹사이트http://www.gwangju.go.kr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다. 남동쪽으로 전라남도 화순군, 북동쪽으로 전라남도 담양군, 서쪽으로 전라남도 함평군, 서남쪽으로 전라남도 나주시, 북쪽으로 전라남도 장성군과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서구 치평동이고, 행정 구역은 5 95이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발생한 지역이다.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등 고등 교육기관이 있다. 2년마다 광주 비엔날레가 열리고,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이 국책으로 진행됐다.[2]

역사

[편집]

지명

[편집]

무진(武珍)은 한자어가 아니라 한자의 음과 새김을 빌려 한국어를 적은 것으로 진(珍)의 옛 한자 새김이 들, 돌인 것에서 무진(武珍)의 원래 발음은 무들, 물들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하며, 이는 물+들(물이 많은 들판)일 것으로 보고 있다. 차자표기이기 때문에 무진(武珍)외에 무진(茂珍)이란 표기도 썼으며, 광주의 명산인 무등산의 이름인 무등(無等)도 같은 말의 차자표기로 추정된다. 광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주 영산포 일대를 이두로 수입이(水入伊: 물들이)라한 것으로 보아 옛날에 이 지역일대에 늪지대가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삼한시대 마한에 속했고 백제 시대에는 노지(奴只)라는 이름이 보이며, 삼국통일 이후 신문왕 6년에 무진주라고 하였다가, 경덕왕이 무진주에서 무(武)자를 취하여 무주로 개칭하였다. 현재 쓰이고 있는 광주(光州)란 이름은 고려 태조 시기에 등장한다. 이후 행정구역의 변동에 따라 목(牧), 부(府), 현(縣), 군(郡) 등의 행정단위위계의 변동은 있었으나 명칭은 이어져 오게 된다.

연혁[3]

[편집]

부족시대: 광주지방에 부족 단위 사회가 발생한 시기는 마한 시대로 추측된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 한조(魏誌東夷傳韓條)에 의하면 전라도 마한 지역 중 광주와 관련하여 구사오단국(臼斯烏旦國)과 불미지국(不彌支國)을 들 수 있는데 구사오단국은 장성군 진원면 일대로, 불미지국은 나주 일대로 보고 있다.

불미지국의 경우 전라도 나주의 반남ㆍ덕산ㆍ대안ㆍ신촌에 소재한 30여기의 고분군으로 보아 나주일대로 추정이 가능하나 구사오단국의 경우 반남 등지에서 고분들이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마한의 성장기반인 선사시대의 지석묘군이 발견되지 않아 추정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구사오단국의 지역을 선사시대의 유적과 유물이 발견된 우치동ㆍ송암동ㆍ서창동 등 극락강 일대로 보는 견해도 있다. 결국 광주가 속한 구사오단국은 극락강 대촌 주변 일대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마한시대 각국의 인구수는 약 5천~1만여명으로 추정된다. 마한의 상한년대는 지석묘 중 개석식 지석묘의 하부로 보아 서력 기원 전후가 되며 하한년대는 백제의 근초고왕 때 마한 잔여세력을 토벌하여 남해를 통해서 중원과 만난것으로 보아 4세기 초반이 된다. 따라서 마한은 기원전후에서 4세기 후반까지 4ㆍ5백년간 지속된 것으로 본다.

백제고조선이 망한 후에 남하하여 온 유이민 집단이 한강 유역에 정착하여 점차 주변 부족국들을 통합하면서 그 세력을 확장한 마한 54국 중의 하나인 백제국에서 일어난 삼국의 하나이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의하면 백제의 군현은 모두 147개소라 하고 있다. 전남지역의 군현은 중ㆍ동ㆍ남ㆍ서ㆍ북 오방의 하나인 남장 구화하성(久和下城, 장성ㆍ구례의 二說)에 속하였는데 이 무렵의 광주지역은 무진주(武珍州)이며 직할 3현인 미동미리현(未冬夫里縣, 남평), 복룡현(나주일대), 굴지현(창평)을 통치하였으며 전남지역에는 13군 42현이 있었다.

당시 백제의 해상세력을 형성한 중요한 거점이 된 武珍(광주), 發羅(나주), 月奈(영암)은 지정학상으로 볼 때 일본이나 중국과의 교류를 쉽게 할 수 있는 중요 교통로라는 점에서 武珍은 문물교역의 요지였을 것이라는 추론을 쉽게 할 수 있다.

남북국 시대

[편집]

신라가 백제를 정복하고 군현의 행정조직을 정비한 것은 경덕왕 16년(754년)의 일이며 이 때에 전국을 9주로 나누고 그 아래에 군현을 두었다. 양주에 금해경, 한주에 중원경, 삭주에 북원경, 웅주에 서원경, 전주에 남원경의 5경을 두었고 이 당시 전남지역은 남원경에 속한 무주(武州)이며 15군 32현을 관할하였다.

광주가 무주(武州)라고 기록된 것은 「신라가 그 땅을 모두 합병하여 웅주, 전주, 무주 및 여러 군현을 설치하고 고구려의 남쪽경계 및 신라의 옛 땅을 합하여 9주를 만들었다.」고 삼국사기 무진주조에 기록이 보이며 신라 신문왕 6년에 그 이름이 나타난다.

지방조직의 핵을 이룬 9주를 살펴보면 상주, 양주, 강주, 한주, 삭주, 웅주, 연주, 전주, 무주로서 군현제는 피라미드형의 체제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있다. 혜공왕 12년에는 경덕왕 때에 개칭된 관제가 다시 옛날처럼 복구되어 지방군현의 명칭 역시 다시 복구되었을 법 하지만 기록이 없고, 다만 신라후기에 무주ㆍ무진주로 부른 예가 있고 보면 혜공왕 이후에는 무주가 다시 무진주로 호칭되었거나 아니면 함께 부르게 되었던 듯 하다.

무주는 근처 3현인 현웅현(남평), 용산현(나주일부), 기양현(창평)을 직할한 전남지역의 행정중심지였다. 이 당시 최소의 지방행정구역은 촌이었으므로 무주에도 몇 개의 촌이 있었을 것이다. 촌은 대략 10호가량의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혈연집단이 거주하는 자연 부락을 기준으로 편성된 것이었다. 통일신라는 군사조직으로 도성을 호위하는 시위부(侍衛府)와 9서당의 중앙군 이외에도 5州誓 및 삼변수(三邊守), 그리고 지방군을 두었다.

십정(十停)이 바로 지방군을 뜻하며 停은 군영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각 지방요지에 설치한 지방군단이었다. 그 십정 중의 하나가 미다미리정(未多夫里停)이고 무주에 직속되었던 현웅현(玄雄縣, 남평)에 있었으며 군단의 표지는 흑색금(黑色衿)이었다. 한편 무주의 전신은 미다미리정이 아니었나 하는 추론도 있다.

후삼국 시대

[편집]

견훤은 상주 가은현 사람으로 서남해안의 방수비장(防守婢將)으로 있다가 진성여왕 6년에 무진주를 점거하고 부근 군현을 빼앗아 완산주(전주)에 진군하여 도읍을 삼고 스스로 후백제 왕이라 했다.

그러나 북방의 궁예강원도의 거의 대부분을 정벌하고 도읍을 송악(개성)으로 옮긴 뒤 경기도를 정복, 효공왕 5년에 후고구려 왕을 자칭하였다. 궁예는 칭왕 이후 3년에 국호를 마진이라 하다 다시 태봉으로 고쳤다. 또 당시 궁예에 투항하였던 왕건은 상주 등 30여 주현 및 충남 공주를 평정하여 궁예에 귀부시키고, 해상을 통해 후백제 견훤을 공격하여 금성군(나주) 등 10여군을 공략한후 나주에 진을 쳤다. 신라를 두고 후백제와 태봉(마진)이 광주와 나주를 경계로 그 霸를 겨루었다.

고려 시대

[편집]

고려 태조 19년에 견훤의 아들 신검이 항복함으로써 후백제가 멸망하였으며 태조 23년(940년)에 무주(武州)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동시에 도독부를 두었다.

그 후 성종 14년에 관제개혁이 있었는데 전국을 3경ㆍ4도호부ㆍ10도로 나누는 동시에 12주목을 12주절도사로 변경하였고 이 개혁으로 전라남도를 해양도라 했으며 도호부를 안남(현재 영암)에 설치하였고 광주에는 사사(刺史)를 두었다. 당시 해양도에는 1도호부에 14주 62현이 있었는데 전주ㆍ승주에서는 절도사가 있었고, 자사를 둔 곳은 담주(담양)ㆍ패주(보성), 광주의 3주였다.

그러다가 현종 9년에 다시 행정구역을 재현하여 諸道의 안무사를 폐지하고 전국에 4대 도호부ㆍ8목ㆍ56지주군사ㆍ28진장ㆍ20현령을 두었다. 이때 광주는 강등되어 해양현이 되었다. 연대는 미상이나 그후 주로 승격되었다가 26대 충선왕 2년에 다시 강등되어 화평부가 되었는데, 그 까닭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당시 광주에는 토호의 세가 강하여 이를 억제하고자 취한 조치가 아닌가 싶다. 그 후 공민왕 11년에 다시 이름을 바꿔 무진부(茂珍府)라 했다.

조선 시대

[편집]

전라도에는 좌도ㆍ우도가 있었는데 광주는 좌도에 속해 있었다. 세종 12년 마을 사람 노흥준이 목사 신보안을 구타하였다는 죄과로 목을 강등하여 무진군이라 개칭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문종 원년에 다시 복칭되었다가 성종 20년 광산현으로 강등되고 연산군 7년에 복구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인조 숙종대에도 이와 유사하게 불미스러운 일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복구되는 사례가 있었다.

일제강점기

[편집]

일제강점이 되던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의 새로운 지방제도에 따라 광주에 읍장을 두었는데, 그 당시의 광주는 성벽안을 성내면이라 했고 성외에 기례방ㆍ공수방ㆍ부동방의 3방이 있었기 때문에 1면 3방을 합병하여 광주면이라 호칭하였다.

1931년 4월 1일 지방제도 개정에 따라 광주읍으로 승격시켰다가 1935년에는 다시 府政을 실시 광주부로 고쳤다. 이때 행정구역은 41개 정으로 확장되었다.

대한민국

[편집]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국에 패망하자 주둔 미군에 의한 군정이 2년 11개월 동안 실시되다 1947년 6월 3일부로 군정청이 폐지되고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광주부가 1949년 광주시로 바뀌면서 두 차례의 행정구역 변경이 이루어졌다. 1963년에는 서창ㆍ대촌출장소가 다시 광산군에 환원되어 시 관할 구역은 214.92km2로 좁아지고 6개 출장소와 45개 동이 되었다.

1966년에는 계림1구ㆍ월산동ㆍ효죽동의 3개동을 분동하여 48개 동으로 늘렸고, 1970년 다시 산수2동ㆍ서석2동ㆍ학3동 등 10개 동을 분동하여 모두 58개 동이 되었으며 당시 광주 인구는 52만 명이었다. 1973년 7월 1일부터 종래의 4개 출장소를 폐지하고 석곡ㆍ지산의 2개 출장소만 존치시키는 한편 동구와 서구로 나누어 구제(區制)를 실시하게 되었으며, 1980년 4월 1일 석곡ㆍ지산 2개 출장소를 폐지하고 북구를 신설하여 3개구로 운영하다 1986년 11월 1일 "광주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어 부산ㆍ대구ㆍ인천에 이어 네 번째로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이때만 해도 3구 72동으로 행정구역 면적은 215.11km2에 불과했으나 1988년 1월 1일 법률 제3963호 공포로 송정시와 광산군 전역이 다시 광주직할시에 편입됨으로써 면적은 501.44km2로 크게 늘어나고 4구 83동 9출장소를 관할하는 서남권 중추관리기능도시로서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이 시작되었다.

1995년 1월 1일 직할시의 명칭이 광역시로 변경되었다. 1995년 3월 1일 서구에서 남구가 분구되었고 2010년말 5개 자치구에 95개 행정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광주는 UN지정 인권도시 추진을 통해 세계적인 민주ㆍ인권ㆍ평화도시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2007년도에 광역시 중 세 번째로 수출 100억 불 도시를 달성한 이후 2014년에는 수출 162억 불을 달성하고 2015년도에는 165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등 소비도시에서 생산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2011년 11월까지 전국 최초로 4개 권역에 문화산업 투자진흥지구가 지정되고 2011년 1월에는 9개 지구에 광주연구개발(R&D) 특구가 지정되면서 미래성장동력 기반을 확충하였고 새로운 일자리 10만 개 창출과 자동차ㆍ광ㆍ가전ㆍ그린에너지ㆍ금형산업 등 5대 주력산업을 중점 육성하는 등 우리시의 소중한 자산이자 장점인 「민주ㆍ인권, 문화예술, 첨단산업」 3각축으로 한「더불어 사는 광주, 더불어 행복한 시민」도시 건설을 위해 광주가 새롭게 비상하고 있다.

지리

[편집]

인문지리

[편집]

광주광역시는 남쪽으로 남구 승촌동나주시 산포면과의 경계를 이루고, 북쪽으로는 북구 우치동이, 동쪽은 북구 용강동 영산강변 동부지역이 화순군 남면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서쪽은 광산구 양동함평군 나산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서간, 남북간의 연장거리 간격은 각각 34.3km, 23.1km이다. 대한민국 서남부에 위치한 광주는 호남 지방의 중핵도시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광주를 기점으로 하여 나주시, 무안군, 목포시를 잇는 광목선, 영암군, 해남군, 완도군을 연결하는 광완선, 화순군, 순천시, 여수시를 연계하는 광려선, 담양군, 순창군, 남원시광남선, 장성군, 정읍시, 전주시를 연결하는 광전선 그리고 영광군, 고창군, 부안군을 연결하는 광부선 등 6개 방향의 중심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제반에 걸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호남 지방 중추관리 기능도시로서의 역할도 병행하고 있다.[4]

자연지리

[편집]

광주는 동부 산악지와 서부 평야지대의 점이지대라고 할 수 있다. 광주의 지형은 노년기에 속하여 대체로 준평원화된 구릉성 지대라고 보면 된다. 광주를 중심으로 한 전남지방의 산세를 보면 북쪽에 노령산맥이 동서방향으로 뻗어 전북과 불규칙한 경계를 이루고, 동쪽에 소백산맥이 남북방향으로 뻗어 경남과 경계를 이루어 전라남도는 두 산맥의 울타리 사이에 자리한다. 광주평야는 노령산맥과 소백산맥의 지맥들 사이의 영산강 유역에 분포하며, 광주천과 그 소지류 및 극락강 유역에 연속되어 나타나고 있고 영산강 본류를 따라 인접한 나주 등지로 이어져 결국 나주평야의 일부를 형성한다.

기후

[편집]

광주광역시의 기후 특성은 서해안형과 내륙형의 중간형으로 대체로 서해안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겨울에는 몽골부근에서 그 세력을 우리나라쪽으로 확장하는 한랭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삼한사온의 날씨를 보이며, 여름에는 북태평양 동부에 중심을 두고 그 세력을 아시아쪽으로 확장하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우나 초여름과 늦여름에는 장마기가 있어 호우에 의한 기상재해가 발생하며, 태풍의 피해가 잦은 특징이 있다. 봄과 가을에는 중국에서 이동하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건조하고 맑은 날이 많다. 2010년도 광주지방의 평균기온은 전년도와 유사한 14.2 °C이었으며 8월에는 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28.1 °C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연중 강수총량은 1,573.1mm로 전년도보다 84.9mm가 많았으며 7월에는 2010년에 가장 많은 강수량인 453.0mm가 내렸다.[5]

광주광역시 (광주지방기상청, 북구 운암동[6])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18.8
(65.8)
22.6
(72.7)
26.8
(80.2)
30.4
(86.7)
33.9
(93.0)
36.7
(98.1)
38.5
(101.3)
38.5
(101.3)
34.5
(94.1)
31.1
(88.0)
27.1
(80.8)
20.3
(68.5)
38.5
(101.3)
일평균 최고 기온 °C (°F) 5.7
(42.3)
8.3
(46.9)
13.6
(56.5)
19.9
(67.8)
24.8
(76.6)
27.9
(82.2)
30.0
(86.0)
30.9
(87.6)
27.1
(80.8)
21.9
(71.4)
15.0
(59.0)
8.0
(46.4)
19.4
(66.9)
일일 평균 기온 °C (°F) 1.0
(33.8)
2.9
(37.2)
7.5
(45.5)
13.4
(56.1)
18.7
(65.7)
22.7
(72.9)
25.9
(78.6)
26.5
(79.7)
22.2
(72.0)
16.1
(61.0)
9.6
(49.3)
3.2
(37.8)
14.1
(57.4)
일평균 최저 기온 °C (°F) −2.7
(27.1)
−1.5
(29.3)
2.4
(36.3)
7.8
(46.0)
13.4
(56.1)
18.7
(65.7)
22.8
(73.0)
23.2
(73.8)
18.2
(64.8)
11.2
(52.2)
5.0
(41.0)
−0.8
(30.6)
9.8
(49.6)
역대 최저 기온 °C (°F) −19.4
(−2.9)
−17.7
(0.1)
−10.7
(12.7)
−4.5
(23.9)
1.4
(34.5)
7.2
(45.0)
14.9
(58.8)
12.6
(54.7)
5.6
(42.1)
−2.7
(27.1)
−7.2
(19.0)
−13.7
(7.3)
−19.4
(−2.9)
평균 강수량 mm (인치) 32.6
(1.28)
43.6
(1.72)
61.9
(2.44)
86.6
(3.41)
91.4
(3.60)
152.6
(6.01)
294.2
(11.58)
326.4
(12.85)
145.0
(5.71)
59.0
(2.32)
50.2
(1.98)
37.1
(1.46)
1,380.6
(54.35)
평균 강수일수 (≥ 0.1 mm) 10.1 8.2 8.8 8.9 9.0 10.2 15.1 15.0 9.6 6.8 8.8 10.2 120.7
평균 강설일수 9.9 6.3 2.4 0.3 0.0 0.0 0.0 0.0 0.0 0.0 1.1 8.4 28.4
평균 상대 습도 (%) 65.7 61.6 60.3 60.2 64.5 72.0 79.8 78.0 73.6 67.6 66.9 66.9 68.1
평균 월간 일조시간 161.4 170.5 201.0 214.1 227.9 169.9 143.1 169.0 174.4 208.5 167.4 156.9 2,164.1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39년~현재)[7][8]

행정 구역

[편집]

광주광역시에는 5개 자치구(광산구, 동구, 서구, 북구, 남구)와 90개 동이 있다. 2015년 12월 31일 기준 인구는 580,427세대, 1,472,199명이다.[9] 면적은 501.18km2이다.[10]

광주의 행정구역
자치구 한자 세대 인구 (명) 면적 (km2)
동구 東區 45,860 98,784 49.2
서구 西區 120,107 305,028 47.78
남구 南區 87,514 220,165 61.01
북구 北區 178,735 446,316 120.29
광산구 光山區 148,252 400,753 222.9
광주광역시 光州廣域市 580,427 1,472,199 501.18

동구는 전통적으로 광주의 중심지로, 구 전라남도청[11]과 구 광주시청[12]이 자리잡고 있다. 5.18 운동의 중심이 된 금남로와 충장로가 있으며 황금동, 대인동 등의 번화가가 자리잡고 있으며, 구 전남도청과 전남도의회가 있던 자리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있다. 북구 역시 광주의 중심지로 북구 중흥동에는 광주 교통의 중심지였던 광주역이 위치한다. 남구는 주월동, 봉선동 등의 주택가가 자리잡고 있으며 서구에는 상무 신시가지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시청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다. 광산구는 원래 광산군 지역이었으며 광주송정역 주변의 송정동이 광산구의 주요 시가지이다. 광산구에는 첨단지구 및 신가지구, 신창지구, 운남지구, 하남1, 2, 3지구, 수완지구, 선운지구, 북구에는 첨단2지구가 완료되었으며 남구의 효천지구 등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광산구에 광주과학기술원(GIST), 삼성전자 공장, 북구에 국립광주과학관, 서구 및 광산구에 기아의 공장 등이 자리잡고 있다.

광주권

[편집]

대도시권 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대통령령)의 별표 1(대도시권의 범위(제2조관련))에 의하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시, 담양군, 장성군, 화순군, 함평군이 광주권으로 규정된다.

역대 시장

[편집]

인구

[편집]
광주광역시의 인구[13]
연도 인구(명) 그래프 비고
1960년 409,283
1966년 532,235
1970년 622,755
1975년 737,283
1980년 856,545
1985년 1,042,508
1990년 1,139,003
1995년 1,257,636
2000년 1,352,797
2005년 1,417,716
2010년 1,454,636
2011년 1,463,464
2012년 1,469,216
2013년 1,472,910
2014년 1,475,884
2015년 1,472,199
2016년 1,469,214
2017년 1,463,770
2018년 1,489,936

주요 기관

[편집]
전남도청

광주는 산지와 평야의 2개 이질 지역 접촉지대에 발달한 군사·행정상 및 교역상 좋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충장로·금남로 일대가 상업의 중심지이며 ‘교육도시’라고 일컬을 정도로 대학 및 각급 학교가 많아 전남 문화의 중심지로 되어 있다. 광주에는 국립 전남대학교를 비롯하여 조선대학교·광주대학교·호남대학교·광주교육대학교 등 8개의 4년제 대학교, 조선간호대학교 등을 포함한 8개의 전문대학이 있다. 초등학교 108개교, 중학교 69개교, 고등학교 58개교 등에 38만여 명이 재학하고 있다.

광주에는 방송사 8개와 신문사 6개가 있다.

주요 스포츠 시설로는 북구 임동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가 있으며, 서구 풍암동광주월드컵경기장, 광주축구전용구장, 페퍼스타디움이 있다.

동구 광산동전라남도청이 있었으나, 전라남도청은 2005년에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로 이전했다. 현재는 그 자리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있으며, 문화전당역과 연결된다. 서구 치평동광주광역시청이 자리잡고 있다. 사법기관으로 광주 지방 법원과 광주 고등 법원이 있고 검찰 사무를 담당하는 광주 지방 검찰청 및 광주 고등 검찰청과 치안업무를 담당하는 광주지방경찰청이 있다. 서구 상무동에는 '광주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5.18 기념공원이 조성되었으며 북구 망월동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국립 5.18 민주묘지가 있다.

공공 기관

[편집]

행정부

[편집]

사법부

[편집]

독립기관

[편집]

지방자치단체

[편집]

지방교육청

[편집]

지방공기업

[편집]

연구기관

[편집]

금융기관

[편집]

기타기관

[편집]

의료기관

[편집]
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2010년 기준으로 의료기관 1800여 개, 의사 3000여 명이 있다. 전국 광역시 중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가장 많다.[14]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대학치과병원

대학한방병원

  •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 동신대학교 광주한방병원

경제

[편집]

2012년 광주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26조 7,700억 원이며, 실질성장률은 0.7%이다.

산업

[편집]

자동차산업[15]

[편집]
광주 자동차 산업 현황
[편집]

완성차 제조업은 지역 내 최대 주력 산업이다.

  • (부가가치) 지역 4대 전략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부가가치 39.4%, 고용율의 22.2%)하며, 광주광역시의 주도적 육성의지에 따른 산업의 성장세 유지※ ’11년도 기준 광주 부가가치 9조 4,000억, 자동차산업 부가가치 3조 7,000억
  • (수출) ’12년도 광주 자동차 수출은 전년대비 3% 감소한 약 50억 달러(광주 총 수출액 중 35% 차지)
  • (생산지수) 광주 지역 제조업 생산지수 연평균 증가율 8.8%인데 반해 자동차산업 생산지수 증가율은 16.5%로 고도성장

(단위 : 천억원, 대, 억불 등)

년도 2004 2006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추정)

2014

(예측)

생산대수 184,567 312,622 312,644 323,066 411,196 488,154 441,000 479,880 528,000
매출액 합계 주1) 34 63 68 67 94 121 114 125 135
완성차 24 49 49 55 69 86 80 88 95
부품 10 14 19 12 25 35 34 37 40
수출액 합계 주2) 8.6 28.9 28.9 29.4 39 51.8 49.8 56.9 61.5
완성차 8.2 28.6 27.6 27.8 36.7 48.8 47.6 54.5 58.9
부품 0.4 0.3 1.3 1.6 2.3 3 2.2 2.4 2.6

출처 : 주1) 통계청 광업제조업 조사보고서 주2) 자료 : 한국무역협회

자동차산업 관련 우수한 연구자원 보유
[편집]
  • 연구기관 현황
연구기관 설립 목적 주요 업무
자동차부품연구원 - 장비 및 인력이 부족한 중소 자동차부품기업 기술개발 지원 - 전략적 핵심기반 기술개발

- 지역 특화기술 개발

- 교육 및 신뢰성 평가

전자부품연구원 - 정부의 정책과 광주광역시의 발전방안에 맞춰 중소기업의 R&D 경쟁력 제고와

광주 지역산업이 프리미엄급 디지털전자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혁신 선도

- 지원업무(장비, 현장애로기술 지원, 신뢰성시험 분석, 연구공간 할애 및 IDP 지원, 창업보육센터 운영)
광주과학기술원 - 미래의 과학기술 변화 및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고급과학기술 인재의 양성과

첨단과학 기술의 연구개발 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고등교육 및 연구기관의 설립 필요성 제기

- 고급과학기술인재 양성

- 국책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 및 응용연구

- 국내‧외 산‧학‧연과의 공동 연구

- 광주첨단과학산업기지 활성화

-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사업

한국광기술원 - 전문생산기술연구소로서 광제품 기술개발, 시험생산 및 시험‧인증 등

종합적인 기술지원 시스템 구축 및 기업체에 인프라 지원

- 광제품 기술개발 및 시험생산 지원

- 광제품 시험‧계측‧인증 및 신뢰성 평가업무 수행

- 창업보육 및 경영지원, 기타 광산업기술 발전 사업 수행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기술 주도형 중소‧중견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생산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세계일류 생산기술 전문 연구기관

- 중소기업 지원

- 뿌리산업(생산기반) 기술, 청정생산시스템기술, 융복합생산기술 분야 연구

  • 기업지원기관 현황
연구기관 설립목적 주요업무
광주테크노파크 - 지역 내 산학연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역량을 결집하고 연구개발‧시험

생산‧기업지원사업 등의 병행을 통해 궁극적으로 과학기술을 매개하는 기술혁신 및 산업진흥 도모

- 산업정책 기획

- 지역사업 평가

- 기업 지원(창업 보육, 마케팅, 인력 양성, 기술 투자, 지식서비스, 기술 이전 등)

광주그린카부품산업진흥재단 - 광주 자동차산업분야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그린카 부품산업 육성, 연계, 조정 등 광주지역 자동차부품 산업기술 고도화 및 산업 육성을 도모

- 기업 창업 촉진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 광주 자동차산업 육성 사업기획 및 수행

- 클린디젤자동차핵심부품산업육성사업 기반구축, 기업지원, 기술개발 통합 수행

- 네트워킹/기업지원

- 산학연 공동 핵심기술개발 및 인력양성

광주산업단지혁신클러스터추진단 - 입주기업체 중심의 혁신 주체들 간의 협력적 네트워킹 활성화 및

기술집약적 중소기업 육성 및 선도기업 유치를 통한 세계적인 광산업 클러스터 조성

- 산‧학‧연 협의체(미니클러스터) 구성 및 운영

- 기업체 애로 과제 해결 지원(R&D, 마케팅, 자금‧인력, 경영)

- 산학연 전문가 Pool(코디네이터) 구성 운영

- 지역 내 혁신 주체간 네트워크 구축(지원기관 협의회)

호남광역경제권선도산업지원단 - 지식경제부가 추진 중인 “5+2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광주, 전남, 전북의 선도산업별 프로젝트 사업 수행 및 세부사업 총괄 관리 등 총괄 주관기관의 역할을 위해 설립

- 광역선도산업 육성 사업

- R&D 기획 ‧ 추진, 기술 개발

- 네트워킹/기업 지원, 인프라(장비 구축)

에너지산업[16]

[편집]
기업현황
[편집]
  • 우리시 신재생에너지 기업현황(연도별)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합계 235 291 322 363 393 413 459
제조업 52 58 50 60 62 63 75
시공전문기업 183 233 272 303 331 350 384
  • 우리시 신재생에너지 기업현황(분야별)
구분 합계 태양광 에너지저장 풍력 연료전지 지열 기타
제조업체(개) 75 40 15 8 4 1 7
기반시설
[편집]

광산업[17]

[편집]
  • 광산업은 자동차·가전산업에 이어 지역 3대 주력산업으로 확고한 위상 정립

(단위 : 억원, 명, 개사, %)

구분 1999년

(육성이전)

2003년

(1단계완료)

2008년

(2단계완료)

2012년

(3단계완료)

2013년 2014년
고용인원(명) 1,896 2,834 6,018 8,242 8,445 6,799
업체수(개) 47 190 327 360 360 306
매출액(억원) 1,136 3,234 13,079 25,904 27,105 23,626
  • 연구·지원 인프라 구축 및 기업지원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국제적 광산업 클러스터로 부상
  • Technology 인프라

한국광기술원을 비롯한 고등광기술연구소, 전자부품연구원, 생기원호남본부, ETRI호남센터, 한국광산업진흥회 등 국가 광산업 발전 추진체 집적화

  • Land 인프라 : 광산업집적화단지(26만m2)와 LED밸리(31만m2)를 조성하여 300여개사를 집적화

금형산업[18]

[편집]
  • 금형 시험생산(Try-Out)센터 건립
    위치 : 광산구 옥동 1233-9번지(평동산단 內)
    규모 : 부지8,250m2, 3개동(프레스, 사출, 행정동)
    내용 : 고가 장비(프레스, 사출기, 3차원 측정기 등) 공동 활용 및 금형 인증체제 구축으로 신뢰성 제고
  • 금형 집적화단지
    연구개발에서 수주, 가공, 납품까지 일괄생산, 체제구축
    규모 : 79.339m2(24천평: 19개업체 입주 확정), 90,365m2(27천평: 19개업체 입주)
  • 금형산업 현황
구분 2007년 2008년

(센터준공)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고용인원(명) 1,753 2,158 4,099 4,254 4,399 4,462 4,517
기업체(개사) 97 97 266 305 306 311 315
매출액(억원) 3,509 4,661 8,001 9,319 9,895 10,865 11,839

산업단지[19]

[편집]

산업단지 주요현황 집계표

산단별 토지이용현황 공장설립(개사) 종업원수

(명)

산업단지 내

생산 및 수출

공장

용지

지원

시설

공공

용지

주거

시설

공원

녹지

가동 휴업 건설중 미착공 생산

(억원)

수출

(백만불)

총계 26,500 13,938 2,465 5,492 1,957 2,648 2,591 2,288 74 220 9 59,870 242,593 7,313
소계

(조성완료)

22,744 11,705 2,338 44,600 1,861 2,240 2,591 2,288 74 220 9 59,870 242,593 7,313
본촌산단 937 763 - 137 - 37 168 159 9 - - 2,359 8,880 150
송암산단 394 278 15 76 - 25 65 65 - - - 1,629 743 -
하남산단 5,944 4,551 204 818 - 371 977 971 2 4 - 27,843 138,879 4,156
소촌산단 189 106 33 50 - - 53 45 8 - - 540 3,191 24
소촌농공 324 262 20 42 - - 67 59 8 - - 1,709 9,581 99
평동산단

(1차,2차)

4,965 3,290 159 883 62 571 542 501 40 1 - 13,445 54,297 603
일반산단 4,866 3,191 159 883 62 571 539 499 40 - - 13,364 54,107 588
월전외투 99 99 - - - - 3 2 - 1 - 81 190 15
첨단산단 9,991 2,455 1,907 2,594 1,799 1,236 719 488 7 215 9 12,345 27,022 2,281
(1단계) 7,931 1,713 1,851 2,019 1,362 986 640 434 6 200 - 11,054 27,022 2,281
(2단계) 2,060 742 56 575 437 250 79 54 1 15 9 1,291
소계

(조성 중)

3,756 2,233 127 892 96 408 - - - - - - - -
진곡산단

(부분준공)

1,909 1,052 101 532 27 197 - - - - - - - -
빛그린산단 1,847 1,181 26 360 69 211 - - - - - - - -

주요기업

[편집]

기아자동차(주)

삼성전자(주)

현대위아(주)

세방전지(주)

엘지이노텍(주)

금호타이어(주)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주)

(주)대유에이텍

코비코(주)

(주)위니아

오비맥주(주)

(주)케이티앤지

(주)광주은행

(주)동희하이테크

(주)광주글로벌모터스

(주)캠스

(주)대한솔루션

오텍캐리어(주)

디케이(주)

모트라스(주)

세방리튬배터리(주)

해태제과식품(주) 광주공장

한국알프스(주)

모비언트(주)

매일유업(주)

롯데칠성음료(주)

중흥토건(주)

전남대학교병원

광주 대기업, 중견기업 리스트 출처

상업

[편집]

재래시장

[편집]


도매시장

백화점·대형아울렛

[편집]

대형마트

[편집]
  • 롯데마트 : 월드컵점 (서구 풍암동), 상무점 (서구 치평동), 첨단점 (광산구 첨단2동), 수완점 (광산구 수완동)
  • 이마트 : 광주점 (서구 광천동), 광산점 (광산구 우산동), 봉선점 (남구 봉선동)
  • 홈플러스 : 광주하남점 (광산구 하남동), 동광주점 (북구 두암동), 계림점 (동구 계림동)
  • 하나로클럽 : 광주점 (광산구 수완동)

문화

[편집]

공연 시설

[편집]

박물관

[편집]

그 외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호남대학교에서 부속 박물관을 운영 중이다.

영화관

[편집]
  • CGV : 광주터미널, 광주첨단, 용봉, 상무, 광주금남로, 광주하남, 광주용봉, 광주충장로
  • 롯데시네마 : 광주(백화점), 수완(아울렛), 광주광산
  • 메가박스 : 광주전대, 첨단, 콜럼버스 상무, 콜럼버스 하남
  • 광주극장

(총 16곳)

문화복합관

[편집]

스포츠

[편집]
무등야구장에서 바라본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프로 야구단인 KIA 타이거즈, K리그광주 FC가 광주광역시를 연고지로 한다.

리그명 팀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KBO 리그 KIA 타이거즈 1982년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K리그2 광주 FC 2010년 광주축구전용경기장
V-리그 (여)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2021년 페퍼스타디움

경기장

[편집]

관광

[편집]

가볼만한 곳 20선[20]

[편집]

놀이동산 및 동물원

[편집]
  • 광주어린이대공원
  • 우치공원 (금호패밀리랜드/우치공원 동물원)

교육

[편집]

초중등교육기관

[편집]

광주 서구 화정동에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있고, 산하에 동부ㆍ서부 2개의 교육지원청이 있다. 광주시에는 2010년 기준 유치원 248개, 초등학교 145개교, 중학교 85개교, 고등학교 72개교가 있다. 교육청 산하에는 도서관을 비롯하여 교육연수원, 교육과학연구원, 학생교육원, 교육정보원 등이 있다.

고등학교

[편집]

고등교육기관

[편집]

대학교

[편집]

전문대학

[편집]

도서관

[편집]

광주의 공공도서관은 2012년 기준으로 17개가 시, 구, 교육청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교통

[편집]

도로

[편집]
유스퀘어

광주대구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가 도시의 북부, 무안광주고속도로가 도시의 중부를 관통하며 북광주 나들목, 서광산 나들목, 운수 나들목, 북광산 나들목, 광산 나들목, 동림 나들목, 산월 분기점, 서광주 나들목, 용봉 나들목, 동광주 나들목, 문흥 분기점이 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도심을 순환하는 제1순환도로와, 도심 외부를 순환하는 도로인 제2순환도로가 있으며, 이 도로는 1구간 (문흥 분기점 ~ 장원 나들목), 2구간 (장원 나들목 ~ 효덕 나들목), 3구간 (효덕 나들목 ~ 서창 나들목), 4구간 (서창 나들목 ~ 산월 분기점)로 분류되어있다. 유료 구간은 2구간 (장원 나들목 ~ 지원 나들목), 3구간(효덕 나들목 ~ 풍암 나들목), 4구간 (서창 나들목 ~ 산월 분기점)이다. 그리고 2015년 12월 23일에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제3순환도로)가 착공되어 2022년 12월에 개통됐다. 또한, 광천동 종합버스터미널은 한 때 동양 최대규모를 자랑하였던 버스 터미널로서, 2006년 8월경 '유스퀘어'라는 이름으로 새로 단장했다. 이 터미널에서는, 서울로 향하는 고속버스가 약 5분 간격으로 출발하며, 종합버스터미널이라서, 고속버스뿐만 아니라 시외버스 및 일부 농어촌버스 노선도 승차 가능하다.

자매도시간 상호원칙에 따라 2004년 12월 29일에 상무지구에서 동림 나들목을 잇는 도시고속도로인 (개통 당시에는 일반도로였음) 센다이로가 개통되었으나, 광주 관문도로에 명명된 일본식 이름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에 따라 지금은 빛고을대로로 변경되었다.

시내버스

[편집]

광주광역시의 버스는 광주광역시와 산하 구청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하며, 2006년 12월 21일부터 준공영제와 무료환승제가 시행되고 있다. 10개 시내버스회사와 몇몇 공항·마을버스 회사가 광주광역시 전역과 인근 시군을 900여대의 버스로 운행하고 있으며, 인근 5개 시군의 7개 시내·마을버스 회사도 200여대의 버스로 광주광역시와 인근 시군간을 연결·운행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 시스템에서 버스의 배차 간격과 운행 시간, 환승 정보 및 도착 정보를 알 수 있다. 급행간선(좌석)버스는 5개 노선, 간선버스는 30개 노선, 지선버스는 60개 노선, 마을버스는 광산구에 4개 노선, 서구에 1개 노선이 운행 중이며, 이 외에도 공항버스 1개 노선이 있다.

철도

[편집]
광주송정역

광주시 서부로 광주송정역을 지나는 호남선이 위치하며, 이곳의 하남역에서 광주선이 분기하여 광주역으로 연결되며 광주송정역에는 KTX가 운행한다. 또한 광주송정역에서는 순천역삼랑진역 방면으로 경전선이 연결된다. 본래 경전선광주송정역 - 극락강역 - 광주역 - 남광주역 - 효천역 구간이었으나 도심 철도의 문제성, 그리고 주변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하여 광주송정역 - 서광주역 - 효천역으로 이설하고, 광주송정역 - 극락강역 - 광주역구간은 광주선으로 분리하고, 광주역 - 남광주역 - 효천역 구간은 폐선되었다. 2015년 4월 2일에 오송역에서 광주송정역 구간의 호남고속선 1단계 공사가 완공되어 용산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1시간 30분대에 이용이 가능하다. 광주송정역에서는 목포역, 용산역, 인천국제공항역, 행신역 방면 호남선 열차와 순천역, 진주역, 부전역 방면 경전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으며, 광주역에서는 용산역 방면 호남선 열차와 목포역 방면 무궁화호 열차, 순천역 방면 무궁화호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철도

[편집]

2004년 4월 28일 동구 소태동에서부터 서구 상무 신시가지까지를 잇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구간이 개통되었고 2008년 4월 11일 서구 상무 신시가지 - 평동까지의 1호선 2단계 구간이 완공됨으로써 1호선이 완전 개통되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항공

[편집]

광산구에 위치한 광주공항에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의 여객기가 김포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무안국제공항 개항으로 광주공항의 국제선기능이 무안공항으로 넘어가 국제선은 무안에 위치하고 있는 무안국제공항에서 이용해야 한다.)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편집]

출신 인물

[편집]

광주광역시 출신 연예인, 유명인 요약 사이트

국제 교류

[편집]

[21]

자매도시 관심 도시 및 달빛 동맹 우호도시
국가 도시
미국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일본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중국 중국 광둥성(广东省) 광저우시(广州市)
산시성(山西省) 창즈시(长治市)
장쑤성(江苏省) 옌청시(盐城市)
중화민국 중화민국 타이난시(台南市)
홍콩 홍콩(香港)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광둥어: 中華人民共和國香港特別行政區)
국가 도시
일본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구광역시(2009년)
국가 도시
독일 독일 작센주 라이프치히
자를란트주
러시아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 카잔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믈라카주 믈라카
피낭주 세베랑 페라이
스페인 스페인 카탈루냐 바르셀로나
수리남 수리남 파라마리보
이탈리아 이탈리아 토리노도 토리노
일본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22]
중국 중국 랴오닝성(辽宁省) 다롄(大连市) · 선양시(沈阳市)
저장성(浙江省) 원저우시(温州市)
푸젠성(福建省) 취안저우시(泉州市)
허난성(河南省) 뤄양시(洛陽市)
후베이성(湖北省) 우한시(武汉市)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멜버른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2023년 7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광주 亞문화도시 7대 문화권 사업 내용 구체화《연합뉴스》2011년 9월 14일
  3. “홈>광주소개>광주의 역사>광주연혁”.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4. 《2011년 시정백서》, 제2절 지역적 특성, 1. 위치, p. 35
  5. 《2011년 시정백서》, 3. 기후, p. 36, 2012년 9월 3일 확인
  6. 1939년~1945년은 치평동 소재, 1945년~1960년은 양동 소재, 1960년~1992년은 서동 소재, 1992년부터는 운암동 소재 관측소에서 관측
  7.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광주(156)”.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8. “순위값 - 구역별조회 광주(156)”.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9. 2013년말 주민등록 인구 Archived 2015년 9월 24일 - 웨이백 머신(등록 외국인 포함)
  10. “광주광역시의 면적”. 2014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1일에 확인함. 
  11. 국립아시아문화전당
  12. 홈플러스 계림점
  13.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14. 인구 당 의사수 "서울·광주 많고 인천·경북 적어"
  15.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자동차산업”. 2016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16.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에너지산업 > 에너지밸리조성”.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17.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광산업”. 2016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18.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광주주력산업 > 금형산업”.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19.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산업단지”.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20. “홈>광주의 재발견>가볼만한곳 20선”.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31일에 확인함. 
  21. “해외자매도시”. 2014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30일에 확인함. 
  22. S.E.S. 출신 쿠니미츠 슈모닝구무스메 전멤버 야구치 마리니이가키 리사의 교향이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