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국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학
國學
경주향교 대성전. 경주향교는 신라의 국학이 있었던 자리라고 전해지고 있다.
개교682년(1342년 전)(682)
국가신라
관할관청예부

국학(國學)은 유교 진흥책의 하나로서 설립된 신라의 교육 기관이다.[1] 신라의 지배 체제가 삼국통일 이후 성숙해짐에 따라 유교 이념의 교육과 관리 양성의 필요성으로 설립되었다.

설치

[편집]

신문대왕 2년(682년)에 설치되어 성덕대왕 16년(717년) 으로부터 공자와 그 제자들의 화상을 들여와 국학에 안치하였으며, 경덕대왕 6년(747년) 국학에 제업박사(諸業博士)와 조교(助敎)를 두었고, 국학의 이름을 태학감(太學監)으로 고쳤다. 혜공대왕 12년(776년)에 다시 국학으로 환원하였다.

교육 내용

[편집]

교육 내용은 4과(四科)로 나누어 경의(經義, 경서) 즉, 《논어(論語)》, 《효경(孝經)》, 《서경(書經, 상서尙書)》, 《시경(詩經, 모시毛詩)》, 《주역(周易, 역경易經)》, 《춘추(春秋, 좌전左傳, 곡량전穀梁傳, 공양전公羊傳)[2]》, 《예기(禮記)》, 《문선(文選)》, 《산학(算學, 수학數學)》 등을 가르쳤다. 이중 논어, 효경을 필수 과목[3]으로 하였다. 그 외 5경[4]과 문선, 수학을 학습시켰다.

학생

[편집]

학생은 15~30세의 귀족 자제[5]로서 대사(大舍[6]) 이하 무위(無位)까지이다. 학생 중 능력이 부족하면 퇴학시키고, 재질이 성취할만 하되 미숙한 자는 9년을 넘어서도 재학하게 된다. 졸업자는 대나마(大奈麻), 나마(奈麻)의 관위를 주었다. 교수는 박사, 조교 등이 있었다.

결과

[편집]

결과적으론 골품제의 제약과 진골귀족들의 관리 독점에 의해 큰 실효는 거두지 못하였다. 하지만 국학으로 인해 학문유학을 신라 사회에 널리 보급시켜 무치주의의 신라 사회를 문치주의로 바꾸는 계기가 되어 고려 시대유교를 확립시키고 과거 제도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김부식 (1145). 〈본기 권8 신문왕〉. 《삼국사기》. 二年...六月 立國學 
  2. 춘추는 주로 좌전을 다루었다.
  3. 이유는 충효사상 차원에서 유교 정치이념 도입을 통해 전제왕권을 강화시키고 성골 중심의 씨족·친족집단을 진골 중심의 부계(가부장) 권위로 탈바꿈하여 이를 확립시키기 위함이다.
  4. 시경, 서경, 주역, 춘추, 예기
  5. 주로 6두품의 자제이나 진골의 자제들도 있었다고 한다.
  6. 신라의 17관등(官等) 중 제12등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