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피
궁수자리 피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궁수자리 피, φ Sgr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궁수자리 27, 27 Sgr | |
밝은 별 목록 | HR 7039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173300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268859 | |
소천성표 | CPD-27 5241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92041 | |
다른 이름 | 나말사디라 1, 아왈 알 사디라, FK5 1487, GC 25661, PPM 297231[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궁수자리 | |
적경(α) | 18h 45m 39.38610s[2] | |
적위(δ) | –26° 59′ 26.7944″[2] | |
겉보기등급(m) | 3.17[3] | |
절대등급(M) | −1.16[4]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21.5 km/s[3] | |
적경 고유운동 | +50.61 mas/yr[2] | |
적위 고유운동 | +1.22 mas/yr[2] | |
연주시차 | 13.63 ± 0.19 mas[2] | |
성질 | ||
광도 | 475 L☉[5] | |
나이 | 1억 6500만 년[5] | |
분광형 | B8.5 III[6] ~ B7 IV[7] | |
U-B 색지수 | –0.36[8] | |
B-V 색지수 | –0.11[8] | |
추가 사항 | ||
질량 | 4–4.2 M☉[5] | |
반지름 | 4.8 R☉[5] | |
자전 속도 | 35 km/s[9] | |
항성 목록 |
궁수자리 피(φ Sgr)는 천구 남반구의 궁수자리 별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다. 겉보기 등급은 3.17로[3] 별자리에서 아홉 번째로 밝으며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시차로부터 계산한 이 별까지의 거리는 약 239 광년 (73 파섹)이다.[2]
이 별의 항성 분광형은 B8.5 III[6]과 B7 IV로 측정되는데[7] 광도분류 III은 궁수자리 피가 거성임을 의미하나, 한편으로는 광도분류 IV로부터 피가 아직 준거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두 분류 모두 궁수자리 피가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소진하여 진화한 상태에 있음을 뜻한다. 항성 외포층에서의 유효 온도는 14990 켈빈으로[7] 이 온도 때문에 피는 전형적인 B형 항성의 특징인 청백색의 빛을 낸다.[10]
과거에 이 별은 분광쌍성으로 등재되어 있었고 동반성은 달 엄폐 과정에서 관측된 바 있다.[11] 그러나 궁수자리 피는 단독성일 확률이 높으며[5][12] 근처에 있는 별들은 안시 동반성들일 뿐이다.
이름 및 어원
[편집]《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서 이 별은 '아오울 알 사디라'로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라틴어로 번역하면 Prima τού al Sadirah (되돌아오는 타조들 중 첫 번째)이다.[13]
아랍권의 별자리 '알 나암 알 사디라'(النعم السادرة, '되돌아오는 타조들')의 구성원들은 궁수자리 피 외에 궁수자리 시그마, 제타, 키, 타우이다.[14] 《기술 보고서 33-57 - 537개의 이름이 붙은 항성들을 포함하는 성표》에 따르면 '알 나암 알 사디라' 또는 나말사디라(Namalsadirah)는 원래 다음 항성 넷을 부르는 명칭이었다 한다.
- 궁수자리 피: 나말사디라 I
- 궁수자리 타우: 나말사디라 II
- 궁수자리 키1: 나말사디라 III
- 궁수자리 키2: 나말사디라 IV
이 보고서에 따르면 궁수자리 시그마와 제타는 나말사디라에 포함되지 않는다.[15]
중화권에서 궁수자리 피는 두수의 일원으로, 두수는 궁수자리 피 외에 궁수자리 람다, 뮤, 시그마, 타우, 제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궁수자리 피 하나만을 일컫는 명칭은 두수1(斗宿一)이다.[16]
각주
[편집]- ↑ “phi Sgr --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Wielen, R.; 외. (1999), “Sixth Catalogue of Fundamental Stars (FK6). Part I. Basic fundamental stars with direct solutions”, 《Veroeffentlichungen des Astronomischen Rechen-Instituts Heidelberg》 (Astronomisches Rechen-Institut Heidelberg) 35 (35): 1, Bibcode:1999VeARI..35....1W
- ↑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1108.4971, Bibcode:2012AstL...38..331A, doi:10.1134/S1063773712050015.
- ↑ 가 나 다 라 마 Kaler, James B., “PHI SGR (Phi Sagittarii)”,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2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3,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82mcts.book.....H
- ↑ 가 나 다 Zorec, J.; 외. (July 2009), “Fundamental parameters of B supergiants from the BCD system. I. Calibration of the (λ_1, D) parameters into Teff”,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1 (1): 297–320, arXiv:0903.5134, Bibcode:2009A&A...501..297Z, doi:10.1051/0004-6361/200811147
- ↑ 가 나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 Abt, Helmut A.; Levato, Hugo; Grosso, Monica (July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B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573 (1): 359–365, Bibcode:2002ApJ...573..359A, doi:10.1086/340590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Finsen, W. S. (April 1951), “The duplicity of phi Sgr”, 《Astronomical Journal》 56: 56, Bibcode:1951AJ.....56Q..56F, doi:10.1086/106589
- ↑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 ↑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430,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 ↑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355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 ↑ Rhoads, Jack W. (1971년 11월 15일), 《Technical Memorandum 33-507-A Reduced Star Catalog Containing 537 Named Stars》 (PDF), Jet Propulsion Laboratory,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Archived 2011년 5월 22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