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군
보이기
선거구에 대해서는 김해군 (선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김해군(金海郡)은 경상남도에 있었던 행정 구역으로, 1995년에 김해시와 통합하여 도농복합도시가 되었다.[1]
행정구역 변경이 없던 1906년까지의 김해군은 현재의 김해시, 부산 강서구(가락동·녹산동·명지동·강동동)일대에 해당한다.[2]
역사
[편집]- 680년(문무왕 20년), 금관군(金官郡)을 금관소경(金官小京)으로 승격하였다.
- 757년(경덕왕 16년),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개칭하여 양주(良州, 현 양산시)에 속했다.
- 940년 : 김해부(金海府)로 강등되었다. 임해현(臨海縣)으로 강등되었다가 임해군(臨海郡)으로 승격하였다.
- 971년 : 김해부
- 995년 : 영동도(嶺東道) 김해안동도호부(金海安東都護府)로 개칭하였다.
- 1012년 :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다.
- 1018년 : 의안군·함안군·칠원현·웅신현을 속군·속현으로 삼았다.
- 1270년 : 금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하였다.
- 1293년 : 금녕현(金寧縣)으로 강등되었다.
- 1308년 : 금주목(金州牧)으로 승격하였다.
- 1310년 : 김해부로 강등되었다.
- 1413년 :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로 승격하였다.
- 1895년(조선 고종 32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진주부 김해군(金海郡)으로 개편되었다.[3]
-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 경상남도 김해군으로 개편되었다.[4]
- 1906년 : 양산군 대상면·대하면이 김해군에 편입되고,[2] 대산면이 창원부로 이관되었다.[5]
1914년 이후
[편집]세부 내용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김해군 좌부면(左部面) 강창리 일부, 동상리/다전리 일부/부원리 일부, 다전리 일부/강창리 일부/(우부면)고서리 일부, 북내리/(우부면)고서리 일부/능동리 일부 좌부면 강창리(江倉里), 동상동, 부원동, 북내동 김해군 활천면(活川面) 남역리 일부, 마마리, 불암리/(가락면)식만리 일부/(하동면)수안리 일부, 삼방리, 어방리/남역리 일부, 지내리 남역리(南驛里), 마마리(馬麻里), 불암리, 삼방리, 어방리, 지내리 김해군 우부면(右部面) 내동리, 답곡리/북외리/삼산리 일부, 삼계리/두곡리, 매정리/삼산리 일부, 외동리/봉곡리, 전하리/(좌부면)강창리 일부, 회현리/고서리 일부/(좌부면)강창리 일부, 흥동리 일부/(칠산면)화목리 일부 우부면 내동리, 답곡리(畓谷里), 삼계리, 삼산리(三山里), 외동리, 전하리, 회현리(會峴里), 흥동리 김해군 칠산면(七山面) 음법리, 이동리, 풍유리/(우부면)흥동리 일부, 화목리 일부 음법리(陰法里), 이동리, 풍유리, 화목리 김해군 장유면(長有面) 화촌리/관동리 일부/(유하면)신문리 일부, 대청리 일부, 삼문리 일부, 수가리, 응달리, 율하리 일부/관동리 일부, 장유리/율하리 일부 장유면 관동리, 대청리, 삼문리, 수가리, 응달리, 율하리, 장유리 김해군 유하면(柳下面) 내덕리 일부/유하리 일부, 무계리 일부/내덕리 일부/(장유면)삼문리 일부, 무계리 일부, 내덕리 일부/신문리 일부/(장유면)삼문리 일부, 유하리 일부/무계리 일부 내덕리, 무계리, 부곡리, 신문리, 유하리 김해군 하계면(下界面) 여래리 일부, 우동리 일부, 진영리/여래리 일부, 방동리 일부, 우동리 일부/방동리 일부, 좌곤리 일부, 좌곤리 일부 하계면 여래리, 우동리, 진영리, 방동리, 하계리, 좌곤리, 사산리 김해군 중북면(中北面) 내룡리, 본산리/(상북면)가동리 일부/(하계면)여래리 일부, 신용리, 설창리, 죽곡리 일부, 죽곡리 일부/의전리 일부 내룡리, 본산리, 신용리, 설창리, 죽곡리, 의전리 김해군 상북면(上北面) 가산리, 가동리 일부, 시산리/가동리 일부/(밀양군 하남면)명례리 일부, 장방리 이북면 가산리, 가동리, 시산리, 장방리 김해군 하북면(下北面) 용덕리 일부/명동리 일부, 병동리 일부, 신천리 일부, 안곡리, 용덕리 일부/(생림면)생림리 일부, 신천리 일부/용덕리 일부, 퇴래리/병동리 일부/명동리 일부 명동리, 병동리, 신천리, 안곡리, 안하리, 용덕리, 퇴래리 김해군 진례면(進禮面) 청천리/(중북면)의전리 일부, 시례리, 송정리, 신당리/조전리 일부, 조전리 일부/(중북면)의전리 일부, 조전리 일부 진례면 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신월리, 조전리, 신안리 김해군 율리면(栗里面) 고모리/고령리/상석리/(중북면)죽곡리 일부, 개동리/담안리 일부/(중북면)의전리 일부, 산본리/관동리/성법리/송현리 일부, 송현리 일부/담안리 일부 고모리, 담안리, 산본리, 송현리 김해군 가락면(駕洛面) 봉림리 일부/죽림리 일부/(덕도면)제도리 일부, 식만리 일부/죽림리 일부, 죽림리 일부/봉림리 일부, 죽동리 가락면 봉림리, 식만리, 죽림리, 죽동리 김해군 덕도면(德道面) 대사리 일부/상덕리 일부/북정리 일부, 상덕리 일부/제도리 일부/제도리 일부, 제도리 일부 대사리, 북정리, 상덕리, 제도리 김해군 대상면(大上面) 대지리 일부/출두리 일부/평강리 일부, 사덕리 일부/대지리 일부/출두리 일부, 출두리 일부/사덕리 일부/대지리 일부, 평강리 일부/대지리 일부/(대하면)사두리 일부/(덕도면)효울리 일부 대저면 대지리, 사덕리, 출두리, 평강리 김해군 대하면(大下面) 덕두리 일부/맥도리 일부, 도도리 일부/소덕리 일부/덕두리 일부/맥도리 일부, 맥도리 일부, 사두리 일부/소덕리 일부, 설만리/사두리 일부/(덕도면)효울리 일부/제도리 일부 덕두리, 도도리, 맥도리, 사두리, 소덕리, 울만리 김해군 녹산면(菉山面) 녹산리, 화전리, 송정리/(마산부 웅동면)가동리 일부 녹산면 녹산리, 화전리, 송정리 김해군 태야면(台也面) 범방리/탑동리, 구랑리/소압리 일부, 미음리/상룡리, 지사리/소압리 일부, 생활리/중곡리 범방리, 구랑리, 미음리, 지사리, 생곡리 김해군 명지면(鳴旨面) 조동리 일부/중리 일부/동리 일부/신전리 일부, 평성리/조동리 일부, 중리 일부, 신전리 일부, 동리 일부, 진목리/(덕도면)제도리 일부, 신전리 일부 명지면 조동리, 평성리, 중리, 신전리, 동리, 진목리, 신호리 김해군 하동면(下東面) 수안리 일부, 주중리/주동리 일부, 주동리 일부/초정리 일부, 시례리/초정리 일부, 초정리 일부,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일부, 월당리/평촌리/덕산리 일부 하동면 수안리, 주중리, 주동리, 예안리, 초정리,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월촌리 김해군 상동면(上東面) 여차리, 감로리, 매리,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상동면 여차리, 감로리, 매리,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김해군 주촌면 (酒村面) 외선리/원지리 일부, 천곡리/연지리/망덕리 일부, 망덕리 일부,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상가리, 덕암리 일부, 원지리 일부/덕암리 일부 주촌면 선지리, 천곡리, 망덕리,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 덕암리, 원지리 김해군 생림면 (生林面) 금곡리 일부, 사촌리 일부, 나전리/사촌리 일부, 봉림리/생림리 일부, 생철리/도요리 일부, 도요리 일부, 도요리 일부, 마사리/(밀양군 하동면)삼랑리 일부, 금곡리 일부/생림리 일부/(하북면)용덕리 일부 생림면 금곡리, 사촌리, 나전리, 봉림리, 생철리, 도요리, 안양리, 마사리, 생림리
- 14면 - 가락면, 좌부면, 우부면, 진례면, 장유면, 이북면, 하계면, 대저면, 녹산면, 주촌면, 상동면, 하동면, 생림면, 명지면
- 1918년 7월 1일 : 좌부면과 우부면이 김해면으로 합면되었다. (13면)
- 1928년 4월 1일 : 하계면을 진영면으로 개칭하였다.[6]
- 1931년 11월 1일 : 김해면을 김해읍으로 승격하였다.[7] (1읍 12면)
- 1942년 10월 1일 : 진영면을 진영읍으로 승격하였다.[8] (2읍 11면)
- 1943년 1월 18일 : 가락면 식만리 일부를 김해읍에 편입하였다.[9]
- 1944년 10월 1일 : 하동면을 대동면으로 개칭하였다.
- 1973년 7월 1일 : 대저면을 대저읍으로 승격하였다.[10] (3읍 10면)
법률 제3014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저읍 일원 부산직할시 북구 대저1동, 대저2동 가락면 대사리, 북정리, 상덕리, 제도리 강동동 명지면 일원(신호리 제외) 명지동 명지면 신호리 녹산면 신호리
- 1981년 7월 1일 :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다.[12] (1읍 9면)
- 1987년 1월 1일 : 이북면이 한림면으로 개칭되었다.
- 1989년 1월 1일 : 녹산면과 가락면이 부산직할시 강서구에 편입되었다.[13] (1읍 7면)
행정 구역
[편집]- 1914년의 행정구역[14]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구·읍·면 | 동·리 |
좌부면 (左部面) [15] |
남역리, 어방리, 삼방리, 마마리, 지내리, 불암리, 동상리, 북내동, 부원리, 강창리 | 김해시 | 삼정동, 어방동, 삼방동, 안동, 지내동, 불암동, 동상동, 서상동, 부원동, 강동 |
우부면 (右部面) [16] |
화목리, 풍유리, 음법리, 이동리, 삼계리, 삼산리, 답곡리, 외동리, 내동리, 회현리, 흥동리, 전하리 | 화목동, 풍유동, 명법동, 이동, 삼계동, 구산동, 대성동, 외동, 내동, 봉황동, 흥동, 전하동 | |
장유면 (長有面) [17] |
유하리, 내덕리, 신문리, 부곡리, 무계리, 대청리, 삼문리, 관동리, 율하리, 장유리, 응달리, 수가리 | 유하동, 내덕동, 신문동, 부곡동, 무계동, 대청동, 삼문동, 관동동, 율하동, 장유동, 응달동, 수가동 | |
하계면 (下界面) [18] |
신용리, 내룡리, 설창리, 죽곡리, 의전리, 본산리, 여래리, 우동리, 진영리, 방동리, 하계리, 좌곤리, 사산리 | 김해시 진영읍 |
신용리, 내룡리, 설창리, 죽곡리, 의전리, 본산리, 여래리, 우동리, 진영리, 방동리, 하계리, 좌곤리, 시산리 |
이북면 (二北面) [19] |
가산리, 가동리, 장방리, 시산리, 신천리, 용덕리, 명동리, 안곡리, 퇴래리, 병동리, 안하리 | 김해시 한림면 |
가산리, 가동리, 장방리, 시산리, 신천리, 용덕리, 명동리, 안곡리, 퇴래리, 병동리, 안하리 |
생림면 (生林面) |
금곡리 | 금곡리 | |
사촌리, 나전리, 봉림리, 생철리, 도요리, 안양리, 마사리, 생림리 | 김해시 생림면 |
사촌리, 나전리, 봉림리, 생철리, 도요리, 안양리, 마사리, 생림리 | |
상동면 (上東面) |
여차리, 감로리, 매리,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 김해시 상동면 |
여차리, 감로리, 매리, 대감리, 묵방리, 우계리 |
하동면 (下東面) |
수안리, 주중리, 주동리, 예안리, 초정리,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월촌리 | 김해시 대동면 |
수안리, 주중리, 주동리, 예안리, 초정리, 괴정리, 조눌리, 대감리, 덕산리, 월촌리 |
주촌면 (酒村面) |
선지리, 천곡리, 망덕리,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 덕암리, 원지리 | 김해시 주촌면 |
선지리, 천곡리, 망덕리, 농소리, 내삼리, 양동리, 덕암리, 원지리 |
진례면 (進禮面) [20] |
고모리, 담안리, 송현리, 산본리, 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신월리, 조전리, 신안리 | 김해시 진례면 |
고모리, 담안리, 송현리, 산본리, 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신월리, 조전리, 신안리 |
가락면 (駕洛面) [21] |
식만리, 죽동리, 죽림리, 봉림리 | 부산 강서구 |
식만동, 죽동동, 죽림동, 봉림동 |
대사리, 북정리, 제도리, 상덕리 | 강동동 | ||
대저면 (大渚面) [22] |
출두리, 사덕리, 대지리, 평강리 | 대저1동 | |
덕두리, 소덕리, 도도리, 사두리, 맥도리, 울만리 | 대저2동 | ||
명지면 (鳴旨面) |
조동리, 평성리, 중리, 신전리, 동리, 진목리 | 명지동 | |
신호리 | 신호동 | ||
녹산면 (菉山面) [23] |
범방리, 구랑리, 미음리, 지사리, 생곡리, 녹산리, 화전리, 송정리 | 범방동, 구랑동, 미음동, 지사동, 생곡동, 녹산동, 화전동, 송정동 |
참고 문헌
[편집]- 김부식 (1145), 《삼국사기》 〈잡지제삼 지리일(雜志第三 地理一)〉
각주
[편집]- ↑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와 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 5월 10일)
- ↑ 가 나 부산 강서구 대저1동과 대저2동은 1906년 이전에는 부산 북구와 함께 양산군에 속해 있었고, 1906년에 대상면(현 대저1동)과 대하면(현 대저2동)이 김해군에, 좌이면(부산 북구)이 동래군에 편입되었다.
- ↑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 ↑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896년 8월 4일)
- ↑ 칙령 제49호 지방구역 정리 건
- ↑ 경상남도령 제2호 (1928년 1월 28일)
- ↑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년 10월 20일)
- ↑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년 9월 30일)
- ↑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43년 1월 18일)
-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법률 제3014호 구미시설치및부산시·경상남도간관할구역조정에관한법률 (1977년 12월 19일)
- ↑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 ↑ 법률 제4051호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91년 12월 30일)
- ↑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년)
- ↑ 좌부면은 좌부면과 활천면(活川面)의 합면이다.
- ↑ 우부면은 우부면과 칠산면(七山面)의 합면이다.
- ↑ 장유면은 장유면과 유하면(柳下面)의 합면이다.
- ↑ 하계면은 하계면과 중북면(中北面)의 합면이다.
- ↑ 이북면은 상북면(上北面)과 하북면(下北面)의 합면이다.
- ↑ 진례면은 진례면과 율리면(栗里面)의 합면이다.
- ↑ 가락면은 가락면과 덕도면(德道面)의 합면이다.
- ↑ 대저면은 대상면(大上面)과 대하면(大下面)의 합면이다.
- ↑ 녹산면은 녹산면과 태야면(台也面)의 합면이다.
이전 | 현재 문서 | 다음 | |
---|---|---|---|
조선시대 | 1895년 ~ | 1981년 ~ | 1995년 ~ |
김해도호부 | 김해군 | 김해시 | 김해시 |
김해군 | |||
('89)부산 강서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