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만초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여도의 경조오부도. 용산 부근 표시된 만초천(蔓草川).
용산시가도 (1927년). 한강 합류 지점에 욱천(旭川)으로 표시된 만초천
서울 지도 (1946년). 용산 부근 욱천(Uk-ch'on)으로 표시된 만초천.

만초천(蔓草川)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인왕산의 서쪽과 용산구 남산의 남서쪽에서 각각 발원하여 삼각지 인근에서 합쳐진 뒤 한강으로 합류하던 하천이다. 일제 강점기부터 산업화 시기까지는 일본식 명칭인 욱천(旭川 (あさひかわ), 아사히카와)으로 개칭되어 불렸으며[1], 달리 무악천(毋岳川), 갈월천(葛月川), 덩쿨내라고도 하였다. 과거 만초천의 게잡이는 용산팔경(龍山八景) 중 하나였다.[2]

현재 이 하천은 남영역에서 용산역 간의 약 150m 구간과, 용산 미군기지 내부 구간[3]을 제외하고는 모두 복개되었다. 만초천으로 방류되는 배수펌프장으로는 용산구 한강로3가 25-2의 용산펌프장, 원효로3가 51-4의 원효펌프장, 한강로1가 77-4의 삼각지펌프장, 문배동 30-81의 문배펌프장이 있다.[4][5]

연혁

[편집]
  • 청일전쟁 이전 : 일본의 용산 점령. 만초천 개수.[6]
  • 1914년~ : 한강의 역류를 막기 위한 제방공사 착수.[6]
  • 1919년 : 남대문역 개축에 따라 만초천을 경부선 서쪽으로 옮기고, 갈월동에서 삼각지까지의 구간은 지류로 남김.[2]
  • 1962년 8월 22일 : 서울역에서 원효로까지의 복개 공사 착수.[2]
  • 1967년 8월 15일 : 복개 공사 대체로 완공.[2]
  • 1972년 : 만초천을 복개한 부지에 들어선 서소문아파트 준공.[7]

과거의 다리

[편집]

조선 시대 만초천의 다리 목록이다.

  • 연적교(硯滴橋) : 옥천동에 있었으며, 개울물을 건너는 곳에 물이 빠지는 구멍이 연적과도 같게 생겼다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8]
  • 석교(石橋) : 교남동 100번지 북쪽에 있었으며, 대동지지에는 초교(草橋)라고 적혀 있다.[9] 교남동은 이 다리 남쪽에 있는 동네라 하여 명명되었다.
  • 경교(京橋) : 충정로1가 90번지 서울적십자병원 앞쪽에 있었으며, 경기감영 창고 인근에 위치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9] 경교장의 유래가 되었다.
  • 신교(新橋) : 의주로1가 106번지 남동쪽에 있었으며, 새로 놓은 돌다리라 하여 이러한 이름이 되었다.[10]
  • 이교(圯橋) : 합동 16번지 서소문공원 북쪽에 있었으며, 흙다리[圯] 또는 헌다리라고도 불렸다.[10]
  • 염초청교(焰硝廳橋) : 중림동 9번지 남쪽에 있었으며, 염청교(焰廳橋) 또는 염천교(鹽川橋)라고도 불렸다.[10] 염초청은 각 군문(軍門)에서 필요에 의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추정하건대 이 다리 부근에 염초청이 있어 명명된 것으로 추정된다.[11]
  • 주교(舟橋) : 청파동1가 168번지 부근에 있었으며, 청파배다리라고도 불렸다.[10] 《동국여지승람》에는 청파신교(靑坡新橋)로 되어 있고, 《동국여지비고》에는 “청파신교는 숭례문 밖에 있는데 속칭 주교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11] 조선 초기의 문신 성현은 임시로 놓은 다리였던 이 다리를 돌다리로 중건한 것을 1497년 7월에 〈청파석교기〉라는 기록으로 남겼다.[12] 1902년경 경부철도의 부설에 따라 철거 및 방치되다가 사라졌다.[2]

각주

[편집]
  1. 만초천 Archived 2011년 4월 11일 - 웨이백 머신 배우리(한국땅이름학회장), 2003년 11월 27일 작성.
  2. 이순우 (2019년 5월 24일). “만초천 물길이 남겨놓은 흔적, 갈월동 굴다리 숙명여대 앞 진입도로가 두 갈래 일방통행로가 된 까닭은?”. 《민족문제연구소》. 2019년 8월 19일에 확인함. 
  3. 고재열 (2018년 12월 21일). “반환된 듯 반환 안 된 서울 안의 미국 땅”. 시사IN. 2019년 8월 19일에 확인함. 
  4. 소방방재청 (2007년 10월 25일). “전국 배수펌프장현황”.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9년 8월 19일에 확인함. 
  5. 환경부 상하수도정책관 생활하수과 (2018). 《2016 하수도 통계(중)》. 세종: 환경부. 1820-1821쪽.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이상배 (2000). 《서울의 하천》.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77쪽. ISBN 9791160710182. 
  7. 황두진 (2016년 6월 13일). “[건축가 황두진의 무지개떡 건축을 찾아서] 도로와 뒷골목 그리고 철도변으로… 물길 따라 연결되는 소통·미덕의 공간”. 《서울신문》. 2016년 12월 11일에 확인함. 
  8. 공순정 (1924년 7월 27일). “옥천동 연적교”. 《동아일보》. 2016년 12월 11일에 확인함. 
  9. 이상배 (2000). 《서울의 하천》.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48쪽. ISBN 9791160710182. 
  10. 이상배 (2000). 《서울의 하천》.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49쪽. ISBN 9791160710182. 
  11. 박현욱 (2006). 《서울의 옛물길 옛다리》. 서울: 시월. 247쪽. ISBN 8995397004. 
  12. 박현욱 (2006). 《서울의 옛물길 옛다리》. 서울: 시월. 248-249쪽. ISBN 8995397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