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일
신정일 | |
---|---|
출생 | 1938년 6월 13일 |
사망 | 1999년 4월 5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60세)
성별 | 남성 |
국적 | 대한민국 |
신정일(申正一, Shin Jeong-yil, Shin Jeongyil, 1938년 6월 13일 ~ 1999년 4월 5일)은 대한민국의 종교인, 기업인 출신 정치인이다.[1] 한얼교의 창시자인 그는 두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경력이 있다.[2]
- 1965년 한얼교 창시
- 1967년 (사단법인)정일회 창설 회장
- 1971년 도서출판 <정화사> 대표
- 1978년 한얼교 중앙회 이사장 / 한얼교 법통
- 1980년 한사상연구소 이사장 / '한의 원리' 제정 선포
- 1981년 국제사단법인 검도 한국구락부 회장
- 1984년 근로농민당 명예총재
- 1985년 평화통일정책자문위원회 상임위원
- 1987년 한주의통일연구소 한국당 고문
- 1987년 한주의통일한국당 대통령후보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출마
- 1989년 외교국방연구소 이사장
- 1989년 기술개발진흥회 회장
- 1991년 하버드 대학교 John F. Kennedy School Institute of Politics 국제 정치학 연구소 객원연구원 (남북통일에 대한 ‘중한론’발표)
- 1992년 한온그룹 회장
- 1996년 주한이라크 명예총영사
- 1997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해리스맨체스터 파운데이션 펠로우
- 1997년 한주의통일한국당 대통령후보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출마
- 1998년 제5대 대한우슈협회 회장
- [前] 대한올림픽위원회(KOC) 위원
생애
[편집]1938년 대구에서 출생한 그는 경북중학교와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경북대 법학과와 동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했다.[4] 1965년 한얼사상을 정립하여 한얼교를 창시했고[5] 초기에는`정일회(正一會)'로 출발했으나[6] 1978년 한얼교로 개명했다.[7] 이후 한온그룹 경영,[8] 대통령 선거 출마,[9] 동양문화신문을 발간하는 등 활발한 사회활동을 벌였다.[10]
종교활동 : 한얼교 창교
[편집]1965년 정각묘득을 이룬 신정일이 한얼과 바름을 설법하며 대중 교화를 시작한 것이 한얼교 탄생의 계기가 되었고[7] 전국 각지에 지부가 생겨났다.[11] 1967년 대한민국 문공부로부터 정식 종교단체 사단법인 정일회로 인가 받아 설립했고[12] 1978년 '한교선언'을 통해 현재의 한얼교로 개명 후 오늘날에 이르렀다.[13]
1980년 10월 21일 '한의 원리'선포식에서[14] 그동안 체계화시킨 한사상을 발표했다.[15]
"내얼이 한얼이다"는 가르침을 전하며 자신의 본성인 '나얼'을 깨닫고 각성하여 만물의 본성인 '한얼'과 하나되어 진리를 실천하는 법을 설파했다.[12]
정치 활동 : 대통령 선거 출마
[편집]1983년 6월 근로농민당(당명 변경 전 민주농민당) 명예총재에[16] 취임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17] 1987년 '한주의 정치 선언'과 함께[18] '한주의 통일한국당'을 창당하여[19]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한주의 통일한국당 대통령 후보로[20] 출마해[21][22] 한사상을 설파하고[23] 한주의 정치를 실현하고자 했으나 낙선하였다.[24]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다시 한 차례 통일한국당 대통령 후보로[25] 출마해[26] 남북 평화와 민족 통일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또다시 낙선하였다.[27]
경제 활동
[편집]신기술, 신소재, 에너지 위주의[28] 23개의 계열사를 둔 한온그룹 창업주로 기업경영.[29] 특히 한온그룹의 모회사인 ㈜한얼상사는[30] 1994년 이라크 거대 유전 광구의 개발권 확보에 성공해[31] 삼성물산, 석유개발공사, ㈜SK와 컨서시움을 구성해 간사회사로 활동했다.[32]
외교 활동
[편집]199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John F. Kennedy school Institute of Politics에서 객원연구원으로 <중한론>[33]이라는 남북통일의[28] 신기능주의적 정치외교 학설을 발표했고 미국 부시 대통령과 클린턴 대통령을[34] 포함 세계적으로 여러 중요 정치인사들과 회담했다.[35] 남북한 군사적 완충지대에 경제협력을 바탕으로 한 중립국가를 공동 운영하여 정치경제적 불균형을 완화하며 통일을 촉진하자는 그의 <중한론>은 당시에는 큰 신빙성을 인정받지 못했으나 신정일 타계 후 개성공단과 남북경협이 이뤄지며 부분적으로 실현되었다.[36]
대한민국의 석유자원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이라크와의 경제협력과 민간외교 차원에서 이뤄진[37] 의료지원과 인도주의적 외교활동의 결과로[31] 그 공로를 인정받아 수교가 단절된 상황에서도 이라크와 한국정부로부터 대한민국 총명예영사로[38] 임명되었다.[39] 한중수교가 이루어지기 10년 전부터 이미 중국과의 우호관계의 초석을 다져왔고 백두산에 그 업적을 기리는 산문 공덕비가 세워지기도 했으며[40] 그 외 스웨덴, 프랑스,브리아티아, 러시아, 브루나이, 필리핀[35] 등 여러 국가와 주요 인사를 상대로 외교 활동을 펼쳤다.[41]
기타 활동
[편집]1997년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42] 영국 옥스포드대학 Harris Manchester Foundation Fellow[43]로 임명되었다.[44][45]
한얼교와 함께 한사상연구소를[46] 설립했고[47] 1971년 도서출판 정화사 대표로 취임, 1993년에는 <동양문화신문> 창간,[29] 1998년 대한체육회 산하 '대한 우슈협회' 회장[48]으로 취임,[49] 의료법인설립 등,[4] 사회[50] 체육[51] 언론 교육[52] 문화[53]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54] 그의 활동의 핵심은 한얼사상과 철학이 종교적 신앙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 사회등 다방면에 적용되어 모든 존재를 널리 이롭게 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새로운 정신문화와 인류의식진화의 초석을 제시하기 위함 이었다고 한다.[55]
사망
[편집]1999년 4월 5일 사망하였다.[29] 열반 후 유골에서 여러 과의 진신사리와[56] 최초의 진모사리, 28과의 치사리가 발견되었다.[57]
2015년 한얼교는 창교 50년을 맞이하여 창시자 신정일의 사리 친견과 한얼말씀 판각본을 전시하는 공식 행사를 가졌으며 한얼교 본원 재건립을 통해 반백년 역사를 기념했다고 한다.[58]
주요 저서
[편집]- 1966년 《묘도경》
- 1967년 《진공묘유론》《정연장서》
- 1968년 《바른 모습의 신비》《정일운동요람》《정화》
- 1969년 《정학경서》
- 1970년 《정학입문》
- 1972년 《정화이념》
- 1973년 《통합종교의 출현》
- 1975년 《단군바른님》[59]
- 1976년 《얼.바름.행복》[60]
- 1978년 《민족성전》 《인류성전》《한얼경서》[61]
- 1980년 《한사상》[62] 《한얼교》
- 1981년 《한사상의 본질》
- 1982년 《한사상의 원론》[63] 《물질의 본질을 규명하는데 있어서의 한의 철학적 해석》
- 1984년 《한얼교 창교주 신정일》[64]
- 1985년 《한과학론》
- 1986년 《한주의온얼사상론》[65]
- 1987년 《한경》 《대통령직선제로 개헌을 제의한다》
- 1988년 《제13대 대통령 후보 연설문집》《한얼말씀(한얼성서)》《첨단정신 기술학개론》
- 1989년 《나의 길》《한주의 정치 철학》[66]
- 1990년 《한반도 통일》 창간호 출판
- 1991년 《가능성의 삼위일체》《한반도 통일을 향한 중도 노선》
- 1993년 《온울과학 성격수학 개론》
- 1994년 《신정일 정신한온학》[67]
- 1995년 《한얼교 육대원리 교리서》
- 1996년 《한님의 만년교리》[68]
- 1998년 《한얼말씀》36권 발표
이상[69]
같이 보기
[편집]출처 및 인용
[편집]- ↑ 네이버 인물정보 - 신정일
- ↑ “두산백과 '신정일'”.
- ↑ “중앙일보 조인스 인물정보 '신정일'”. 2014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6일에 확인함.인용 “조선일보 피플조선 인물정보 '신정일'”.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3일에 확인함.인용
- ↑ 가 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신정일'”.
- ↑ “다음백과 "한얼교"”. 2020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재경 저. 《한국문화사》p.113 ISBN 10-9070006920
- ↑ 가 나 “두산백과 '한얼교'”.
- ↑ 한얼그룹 사업확장 재계주목 중앙일보, 1995-08-04
- ↑ 서종철 기자 (1999년 4월 7일). “타계한 신정일씨 대선 두번 출마”. 매일신문.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6일에 확인함.
- ↑ 광복70주년 특별기획-권영재의 내고향 대구 37)신정일 Archived 2015년 10월 6일 - 웨이백 머신 매일신문, 2015-10-01
- ↑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종교문화 연구실 편. (1986년). 《전환기의 한국 종교》. 251쪽: 집문당.
- ↑ 가 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얼교'”.
- ↑ “宗敎단체 정일회 한얼교로 改名”. 동아일보 5면. 1978년 1월 27일.
- ↑ “21일 선포식 가져 한사상연구소”. 경향신문. 1980년 10월 24일.
- ↑ “한얼교사상연서 한의원리 선포회”. 동아일보. 1980년 10월 20일.
- ↑ “한얼교 敎主 申正一씨 근로농민당 入黨 명예총재로”. 경향신문 3면. 1984년 6월 27일.
- ↑ “申正一 한얼교 敎主 勤農黨 명예총재 취임식”. 경향신문. 1984년 7월 7일.
- ↑ “한주의정치선언”. 동아일보. 1987년 10월 1일.
- ↑ “申正一씨 대통령후보 한주의黨 총재도 겸임”. 매일경제. 1987년 11월 4일.
- ↑ 이상명 기자 (1987년 11월 27일). “신정일 한주의통일한국당 후보, 강화.김포 첫 유세”. MBC뉴스.
- ↑ “한얼교 신정일씨 대통령 출마 선언”. 조선일보. 1987년 10월 7일.
- ↑ 신경민 기자. MBC뉴스데스크 가칭 통일한국당 신정일씨 대통령 후보 출마 시사
- ↑ “한사상연구소 지적혁명 발표회”. 영남일보. 1999년 10월 4일.
- ↑ 손석희 앵커 (1987년 12월 6일). “신정일 통일한국당 후보, 부산 유세”. MBC뉴스.
- ↑ 김민배 기자 (1997년 12월 18일). “오늘 15대 대통령 선거 '21세기 한국' 이끌 지도자 뽑는다”. 조선일보.
- ↑ 김재호 기자. “통일한국당 신정일 후보”. 동아일보.
- ↑ MBC뉴스데스크 오상우 (1997년 11월 27일). “군소 후보들 4명의 출마 배경”. 2013년 5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최종철 기자 (1997년 11월 1일). “통일한국당 신정일 후보는? 78년 한얼교 법통 취임”. 영남일보.
- ↑ 가 나 다 이희용 기자 (1999년 4월 6일). “한얼교 창교주 신정일씨 별세”. 연합뉴스.
- ↑ 김선걸 기자 (1997년 7월 3일). “한얼상사 이라크 진출 화제 UN금수조치 불구 전후복구 사업 등 사업기반 다져”. 매일경제.
- ↑ 가 나 조현철 기자 (2003년 3월 26일). “代이은 이라크 사랑 “복구활동 또 돕겠다””. 경향신문.
- ↑ 이기동 기자.《매경이코노미》p.87 2002년10월11일 작성.
- ↑ “SPECIAL REPORT Dr. Shin Jeong-yil, leader of Hanol Religion and Hanol Business Group”. The Korea Post 72쪽. 1997년 3월.
- ↑ 《시사뉴스저널》2014년 3월호 p.54~58
- ↑ 가 나 “한민족의 미래희망 통일한국당 총재 申正一”. 헤드라인 뉴스. 1998년 9월호 통권 제6호.
- ↑ 홍익인간정신을 초월적 계몽주의 철학으로 계승한 한얼교 《파워코리아》2016년 4월
- ↑ 김창회 기자 (1995년 10월 9일). “한얼교 총재 이라크 대통령 취임식 참석”. 연합뉴스.
- ↑ 이용순 기자 (1996년 10월 24일). “주한 이라크 명예영사 한얼상사 신정일 회장 어제 바그다드서 임명장 받아”. 조선일보.
- ↑ 윤성훈 기자 (1996년 10월 27일). “인터뷰 이라크명예영사취임 신정일씨”. 동아일보.
- ↑ “신정일 한얼교 법통”. 동아일보. 1998년 7월 7일.
- ↑ 이강훈 기자 (2008년 6월). “단군의 홍익인간 뜻 계승한 민족종교 한얼교”. 코리아 라이프 p.91.
- ↑ “파운데이션 펠로 취임식 참석”. 중앙일보. 1997년 8월 26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신정일 한온그룹 회장”. 문화일보. 1997년 8월 26일.
- ↑ “사람 사람들 신정일 한온그룹 회장”. 동아일보. 1997년 8월 27일.
- ↑ “신정일 한온그룹 회장 옥스퍼드 특별연구원에”. 한국일보. 1997년 8월 26일.
- ↑ “한얼교 한사상연구소 개설”. 조선일보. 1980년 2월 20일.
- ↑ “한사상연구소를 개원 신정일 법통 취임”. 경향신문. 1980년 2월 21일.
- ↑ “우슈협회장에 신정일 한얼교 이사장”. 한겨레신문. 1998년 4월 9일.
- ↑ “우슈협회장에 신정일 한얼교 이사장”. 영남일보. 1998년 4월 9일.
- ↑ “民族精神선양協會長에 申正一씨”. 경향신문. 1981년 3월 6일.
- ↑ 스포츠 14면 (1998년 4월 9일). “스포츠 단신 신정일씨 우슈협회 회장에”. 조선일보.
- ↑ 신문 19면 (1991년 11월 13일). “세미나 국제宇宙法學會 심포지엄”. 매일경제.
- ↑ “文化게시판 한얼교한思想 강연회”. 동아일보. 1987년 3월 18일.
- ↑ 이선민 기자. "한얼교 창시 신정일씨 기업∙정치∙외교 수완, 이라크 명예대사도 《조선일보》24면. 1999년 4월 7일 작성.
- ↑ 개천철 4348년,한얼교 창교 50주년, 한얼정신 반백년 역사 재정립해 Archived 2017년 4월 12일 - 웨이백 머신 《정경뉴스》2016년 10월호
- ↑ 한민수 기자 (2002년 5월). “화제의 종교 행사 4월 4,5일 창교주 신정일 한님 한성제 3주년 추모행사”. 정경뉴스.
- ↑ “"신정일 한얼교 창교주 유골서 사리 28과 발견"”. 연합뉴스. 1999년 4월 20일. 2013년 5월 3일에 확인함.
- ↑ 창교 50년 맞은 한얼교, 마니산 한얼온궁에서 한얼절 기념행사 개최 《한국경제TV》. 2015년 4월 6일
- ↑ “관심모은 檀君바른님 출간”. 경향신문. 1980년 11월 27일.
- ↑ “얼.바름.행복”. 경향신문. 1977년 1월 27일.
- ↑ “순수민족종교를 표방하고 나선 한얼교는…”. 경향신문. 1978년 6월 23일.
- ↑ 한思想 Archived 2014년 9월 3일 - 웨이백 머신 申正一, 정화사
- ↑ “한사상원론”.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한얼교 創敎主 申正一”. 경향신문. 1983년 5월 24일.
- ↑ “한主義 온얼思想論”. 동아일보. 1986년 7월 16일.
- ↑ “動靜”. 동아일보. 1990년 3월 22일.
- ↑ 《신정일 정신한온학》국립중앙도서관
- ↑ 《한님의 만년교리》국립중앙도서관
- ↑ 한얼교 공식 홈페이지 Archived 2017년 9월 19일 - 웨이백 머신 인용
외부 링크
[편집]- (한국어/영어) 한얼교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