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트로마이신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3R,4S,5S,6R,7R,9R,11R,12R,13S,14R)-6- {[(2S,3R,4S,6R)-4-(dimethylamino)-3-hydroxy-6-methyloxan-2-yl]oxy}- 14-ethyl-7,12,13-trihydroxy-4-{[(2R,4R,5S,6S)- 5-hydroxy-4-methoxy-4,6-dimethyloxan-2-yl]oxy}- 3,5,7,9,11,13-hexamethyl-1-oxacyclotetradecane-2,10-dio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14-07-8 |
ATC 코드 | D10AF02 J01FA01 S01AA17 QJ51FA01 |
PubChem | 12560 |
드러그뱅크 | DB00199 |
ChemSpider | 12041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37H67NO13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Depends on the ester type between 30% - 65% |
단백질 결합 | 90%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5% 미만이 대사되지 않은 채 배설) |
생물학적 반감기 | 1.5시간 |
배출 | bile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A(오스트레일리아)[1]B(미국)[2]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투여, IV, IM, 국소 투여, 안약 |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은 수많은 병균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물질이다.[2] 여기에는 기도 감염, 피부 감염, 클라미디아 감염증, 골반염, 매독이 포함된다.[2] 신생아의 B군 연쇄상구균 감염증 예방을 위해 임신 중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2] 위마비 개선에도 이용된다.[3] 수액 또는 경구 투여할 수 있다.[2] 신생아 결막염 예방을 위해 분만 후 안연고가 주기적으로 권고된다.[4]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경련성 복통, 구토, 설사가 있다.[2] 더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간 질환, QT 연장, 알레르기가 포함된다.[2] 페니실린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에게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편이다.[2] 에리트로마이신은 임신 중에 복용해도 안전한 것으로 보인다.[1] 대체적으로 모유 수유 중에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첫 2주 동안 산모가 복용하면 태아에게 날문협착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5][6] 이 위험은 이 기간 아기에게 직접 투여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7] 매크롤라이드계 항생 물질에 속하며 세균성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동작한다.[2]
에리트로마이신은 1952년 사카로폴리스포라 병균으로부터 최초로 분리되었다.[2][8]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9] 제네릭 의약품으로 구매가 가능하며 그다지 비싸지 않다.[5] 개발도상국의 도매가는 한 알 당 0.03에서 0.06 USD이다.[10]
의학적 이용
[편집]에리트로마이신은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헤모필루스, 홍색음선 등 피부와 폐결핵의 감염을 초래하는 병균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일부 의학적으로 중요한 병균에 대한 MIC 민감성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11]
- Haemophilus influenzae: 0.015 ~ 256 μg/ml
- Staphylococcus aureus: 0.023 ~ 1024 μg/ml
- Streptococcus pyogenes: 0.004 ~ 256 μg/ml
- Corynebacterium minutissimum: 0.015 ~ 64 μg/ml
각주
[편집]- ↑ 가 나 “Prescribing medicines in pregnancy database”. 《Australian Government》. August 23, 2015. April 8,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Erythromycin”.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ug 1, 2015에 확인함.
- ↑ Camilleri M, Parkman HP, Shafi MA, Abell TL, Gerson L (Jan 2013). “Clinical guideline: management of gastroparesis”.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08 (1): 18–37; quiz 38. doi:10.1038/ajg.2012.373. PMC 3722580. PMID 23147521.
- ↑ Matejcek A, Goldman RD (Nov 2013).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phthalmia neonatorum”. 《Canadian Family Physician》 59 (11): 1187–90. PMC 3828094. PMID 24235191.
- ↑ 가 나 Hamilton RJ (2013).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3 delux lab-coat, 14판. [Sudbury, Mass.]: Jones & Bartlett Learning. 72쪽. ISBN 9781449673611.
- ↑ Kong YL, Tey HL (June 2013). “Treatment of acne vulgari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Drugs》 73 (8): 779–87. doi:10.1007/s40265-013-0060-0. PMID 23657872.
- ↑ Maheshwai, Nitin (March 2007). “Are young infants treated with erythromycin at risk for developing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2 (3): 271–3. doi:10.1136/adc.2006.110007. PMC 2083424. PMID 17337692. 7 November 201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0 August 2012에 확인함.
- ↑ Vedas JC (2000). 《Biosynthesis : polyketides and vitamins》. Berlin [u.a.]: Springer. 52쪽. ISBN 9783540669692.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Erythromycin”.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018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3일에 확인함.
- ↑ “Erythromycin Susceptibility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Data” (pdf). TOK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