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초량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량1동
草梁1洞
주민센터
주민센터
로마자 표기Choryang 1(il)-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부산광역시 동구
행정 구역11, 55
법정동초량동
관청 소재지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179번길 33
지리
면적0.26 km2
인문
인구5,030명(2022년 3월)
세대2,691세대
인구 밀도19,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초량1동 행정복지센터
초량2동
草梁2洞
로마자 표기Choryang 2(i)-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부산광역시 동구
행정 구역16, 69
법정동초량동
관청 소재지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209번길 30
지리
면적0.39 km2
인문
인구5,705명(2022년 3월)
세대3,315세대
인구 밀도15,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초량2동 행정복지센터
초량3동
草梁3洞
로마자 표기Choryang 3(sam)-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부산광역시 동구
행정 구역12, 53
법정동초량동
관청 소재지부산광역시 동구 초량상로 112
지리
면적1.13 km2
인문
인구13,074명(2022년 3월)
세대2,911세대
인구 밀도11,6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초량3동 행정복지센터
초량6동
草梁6洞
로마자 표기Choryang 6(yuk)-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부산광역시 동구
행정 구역18, 80
법정동초량동
관청 소재지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 75
지리
면적1.34 km2
인문
인구5,871명(2022년 3월)
세대3,750세대
인구 밀도4,38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초량6동 행정복지센터

초량동(草梁洞)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구법정동행정동이다.

역사

[편집]
  • 1914년 4월 1일 : 부산부 사중면에 소속
  • 1933년 2월 20일 : 부산부 서부 제3방면 사무소 초량정에 소속
  • 1946년 10월 1일 : 초량제1동으로 호칭
  • 1957년 1월 1일 : 경상남도 부산시 동구 초량동[1]
  • 1959년 1월 1일 : 경상남도 부산시 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4동, 초량5동
  • 1963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2]
  • 1970년 7월 1일 : 초량4동이 초량6동으로 분동
  • 1982년 5월 1일 : 법정동 대창동3가가 초량동에 합병 (초량동 1185~1213)
  • 1985년 12월 1일 : 초량5동이 초량3동에 합동
  • 1995년 1월 1일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4동, 초량6동[3] 2007년 5월 10일, 총사업비 1억4천만원으로 초량1동 주민센터의 출입구와 처마에 경사형 기와를 둘렀고 벽면에는 중국을 상징하는 용 문양을 넣는 등 외벽을 중국풍으로 리모델링하였다.[4]
  • 2008년 1월 1일 : 초량4동을 초량6동에 합동[5]

초량동의 유래 및 특성

[편집]

초량동은 조선 시대 동래부 사천면 구초량리였는데, 1910년 일제시대에는 부산부중면 초량동으로, 해방후에는 초량출장소 관내로, 또 1982년에는 법정동인 대창동3가를 흡수하는 등 많은 곡절이 있는 동이다. 동국여지승람과 동래부지에는 초량항이 절영도 안쪽에 있다 하여 영도안의 부산항 해변을 모두 초량항이라 하였다. 초량은 우리말로 "새뛰 또는 새터" 라 불렀는데 새뛰는 억새,갈대라는 뜻의 초(草)와 뒬량(梁)으로 한자음을 따서 지은 것이다. 1906년 시구개정에 의해 구초량의 명칭이 부평동,부민동 등으로 확정되자 신초량(新草梁)이 초량이란 이름으로 정착하게 된 것이다. 한편 풍수상으로 부산의 지형은 엎드려 있는 소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여와우형(如臥牛形)이라보고, 소(牛)는 초원(草原)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초량(草梁)이란 명칭이 생겨났다는 설도 있다.

중앙대로 179번길과 대영로 239번길 일대에 초량 차이나타운이 있다.

주요 기관

[편집]

초량본동

[편집]
  • e편한세상 부산항

초량1동

[편집]

초량2동

[편집]

초량3동

[편집]

초량6동

[편집]
  • 구봉우편취급소
  • 초량6동 새마을금고
  • 초량4동 새마을금고
  • 부산고등학교
  • 부산중학교
  •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 선화여자중학교
  • 사랑방
  • 선화경로당
  • 연화경로당
  • 정화노인정
  • 구봉경로당
  • 묘음어린이집
  • 은방울몬테소리어린이집
  • 아기천사 어린이집
  • 동아의원
  • 노마약국

출신인물

[편집]
  • 나훈아 (1947년 2월 11일(1947-02-11)(77세) ~ ) - 가수
  • 박형준 (1960년 1월 19일(1960-01-19)(64세) ~ ) - 교수, 정치인[6]
  • 이경규 (1960년 9월 21일(1960-09-21)(64세) ~ ) - 희극인, 영화감독, 현(現) IN&IN(영화사) 대
  • 신승윤 ( (1983년 1월 31일(1983-01-31)(41세) ~ ) 삼성중공업

각주

[편집]
  1. 법률 제407호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56년 12월 17일)
  2. 법률 제1173호 (1962년 12월 21일)
  3.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년 12월 22일)
  4. “중국집? 아니 동사무소!”. 부산일보. 2007년 5월 8일. '부산 속의 차이나타운'인 동구 초량동 상해거리내 초량1동 사무소 건물(사진)이 최근 주변 분위기와 어울리는 중국풍으로 전면 탈바꿈돼 시민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부산 동구청은 총사업비 1억4천만원을 들여 초량1동 사무소 건물(지상 3층) 전체 외벽을 중국풍으로 리모델링하는 공사를 마치고 오는 10일 준공식을 가질 예정이다. '중화 문물'을 흡수해 새롭게 태어난 동사무소 건물은 출입구와 처마에 경사형 기와를 둘렀고 벽면에는 중국을 상징하는 용 문양이 새겨 넣어졌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구조례 제735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7년 9월 20일)
  6. “국민의힘 박형준 "부산 초량동서 태어난 부산 사람...부울경 메가시티? '지적재산권'은 나의 것". BBS뉴스. 2020년 10월 13일. 2021년 3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