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다. 육조의 하나로, 호구, 공납, 부사, 조세 및 국가 재정과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였다. 고려시대 성종 이전에는 민관이었고, 성종 이후에 호부로 개칭되었다. 원나라 지배기에는 판도사, 민조, 민부로 명칭을 변경했다가 공민왕 때 다시 호부로 개칭했고 그 뒤 다시 판도사, 민부 등으로 명칭을 변경하다가 공양왕 때 비로소 호조로 개칭된 것이다.
대한제국 고종 31년인 1894년에 탁지아문으로 고쳤고[1], 이후 탁지부가 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는 조선총독부의 재무부와 탁지부로 호조의 기능이 분리되었다.[2]
고대 주나라에서 대사도(大司徒)로 불렀다하여 옛스럽게 별칭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지관(地官)이라고도 한다.
청사
[편집]호조의 본청 청사는 세종대로 동편에 있었다. 현재 주소 체계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82-14번지의 주한미국대사관 남쪽 부지(미국대사관 공보원 자리)이며, 대한제국 시대에는 호조의 후속 관청인 탁지부의 청사로 사용되었다.
관직
[편집]품계 | 관직 | 정원 | 비고 |
---|---|---|---|
종1품 | 제조 | 1명 | |
정2품 | 판서 | 1명 | |
종2품 | 참판 | 1명 | |
정3품 | 참의 | 1명 | |
정5품 | 정랑 | 3명 | |
정6품 | 좌랑 | 3명 | |
종6품 | 산학교수(算學敎授) 별제(別提) |
1명 2명 |
|
종7품 | 산사(算士) | 1명 | |
종8품 | 계사(計士) | 2명 | |
정9품 | 산학훈도(算學訓導) | 1명 | |
종9품 | 회사(會士) | 2명 |
역대 호조 당상관
[편집]역대 호조판서
[편집]호조전서
[편집]태조
[편집]정종
[편집]태종
[편집]호조판서
[편집]태종
[편집]세종
[편집]
문종
[편집]- 윤형
단종
[편집]- 윤형
- 이견기
- 조혜
세조
[편집]
예종
[편집]- 뇌신조
- 서거정
성종
[편집]연산군
[편집]중종
[편집]- 이계남
- 장순손
- 홍경주
- 이계남
- 장순손
- 이자건
- 이계맹
- 고형산
- 안당
- 남곤
- 고형산
- 장순손
- 홍숙
- 이계맹
- 강혼
- 안당
- 김극핍
- 고형산
- 한세환
- 고형산
- 김극핍
- 이자견
- 안윤덕
- 김극핍
- 한효원
- 윤은보
- 조계상
- 신공제
- 유여림
- 홍언필
- 김당
- 홍숙
- 손주
- 박호
- 홍언필
- 유보
- 김안로
- 윤은보
- 이사균
- 심언경
- 윤은보
- 황사우
- 정백붕
- 이사균
- 유관
- 윤인경
- 소세양
- 윤인경
- 홍언필
- 권예
- 조계상
- 유여림
- 조계상
- 윤인경
- 조계상
- 이기
- 윤임
- 유인숙
- 정순붕
- 성세창
- 임백령
인종
[편집]- 임백령
명종
[편집]선조
[편집]- 홍담
- 정대년
- 오상
- 노수신
- 박계현
- 정종영
- 송기수
- 윤현
- 이후백
- 박호원
- 이이
- 이인
- 황정욱
- 윤탁연
- 윤두수
- 이원익
- 한준
- 홍여순
- 이성중
- 홍성민
- 김명원
- 한준
- 권징
- 김명원
- 김수
- 한응인
- 권율
- 심희수
- 김수
- 한응인
- 윤승훈
- 이광정
- 윤자신
- 한응인
- 유근
- 신잡
- 한응인
- 이충원
- 이정구
- 유근
- 김수
- 한응인
- 성영
- 한효순
- 허욱
- 한효순
- 홍여순
- 박동량
- 윤형
- 한준겸
- 서성
- 김수
- 성영
- 이정구
광해군
[편집]인조
[편집]효종
[편집]현종
[편집]숙종
[편집]- 민유중
- 오정위
- 오시수
- 민점
- 이원정
- 목내선
- 민유중
- 조사석
- 정재숭
- 윤계
- 정재숭
- 박신규
- 여성제
- 윤지완
- 유상운
- 조사석
- 유상운
- 이민서
- 유상운
- 윤지완
- 유상운
- 권대재
- 오시복
- 유명천
- 오시복
- 이세화
- 이세백
- 이유
- 민진장
- 김구
- 김진귀
- 서종태
- 김창집
- 이인엽
- 조태채
- 김진귀
- 홍수헌
- 조태채
- 윤세기
- 김우항
- 유득일
- 이인엽
- 최석항
- 김우항
- 조태구
- 이건명
- 조태구
- 권상유
- 송상기
- 조태구
- 송상기
경종
[편집]영조
[편집]- 조태억
- 오명항
- 김흥경
- 신사철
- 황귀하
- 권업
- 이태좌
- 권이진
- 서명균
- 김동필
- 김재로
- 송인명
- 이정제
- 윤유
- 김동필
- 송진명
- 김취로
- 윤양래
- 박사수
- 송진명
- 유척기
- 김시형
- 조현명
- 이병상
- 김시형
- 서종급
- 김시형
- 조관빈
- 조상경
- 조관빈
- 김약로
- 서종옥
- 정석오
- 민응수
- 김시형
- 김약로
- 박문수
- 김상성
- 김상로
- 김상성
- 조영국
- 이창의
- 김상성
- 이창의
- 이철보
- 정휘량
- 이태중
- 민백상
- 이철보
- 이종백
- 홍봉한
- 조운규
- 이익보
- 홍계희
- 민백상
- 홍봉한
- 윤동도
- 김상복
- 김치인
- 서지수
- 김상복
- 조운규
- 구윤명
- 김상철
- 정홍순
- 심수
- 조운규
- 정실
- 이사관
- 조운규
- 이사관
- 정홍순
- 이사관
- 이창의
- 조운규
- 이경호
- 이창수
- 홍인한
- 조운규
- 김시묵
- 조운규
- 정홍순
- 홍인한
- 김시묵
- 조운규
- 김시묵
- 채제공
- 조운규
- 이사관
- 채제공
- 서명응
- 구윤옥
- 채제공
정조
[편집]- 구윤옥
- 정홍순
- 홍낙순
- 정홍순
- 구윤옥
- 김화진
- 채제공
- 김화진
- 정상순
- 정민시
- 이연상
- 김화진
- 김종수
- 이성원
- 서유린
- 정상순
- 정일상
- 조준
- 조시준
- 이재간
- 조시준
- 정일상
- 조준
- 조경
- 이재간
- 서유린
- 김이소
- 정민시
- 서호수
- 이병모
- 조정진
- 이병모
- 조정진
- 이병모
- 이명식
- 심이지
- 이시수
- 김화진
- 조진관
- 이재학
순조
[편집]- 이재학
- 김문순
- 이서구
- 조진관
- 이서구
- 조진관
- 이서구
- 이만수
- 조진관
- 이면긍
- 김달순
- 조진관
- 김문순
- 박종보
- 서영보
- 이만수
- 박종경
- 심상규
- 이면긍
- 박종경
- 김이도
- 이면긍
- 이면응
- 심상규
- 박종경
- 남공철
- 박종경
- 조상진
- 서영보
- 이상황
- 한용탁
- 정만석
- 김이양
- 박종경
- 이상황
- 김이양
- 박윤수
- 이존수
- 심상규
- 이조원
- 김이양
- 이상황
- 정만석
- 이조원
- 이존수
- 박종훈
- 정만석
- 박종훈
- 김노경
- 김로
- 김교근
- 조만영
- 박종훈
- 조만영
- 홍석주
- 이지연
헌종
[편집]철종
[편집]고종
[편집]역대 호조참판
[편집]역대 호조참의
[편집]호조 부서
[편집]호조는 내부에 판적사, 회계사, 경비사 등의 부서를 두고 있었다. 이외에 세부 사무별 담당으로 전례방, 판별방, 별영색, 별고색, 세폐색, 응판색, 은색, 요록색, 잡물색 등이 있었다.
판적사
[편집]판적사(版籍司)는 호구·토지·부역·공납, 농업과 양잠의 장려, 작황의 조사, 진대, 염산 등을 담당한다.
회계사
[편집]회계사(會計司)는 중앙과 지방의 저축(儲積) 및 수입과 지출 회계, 인계 문건, 재물의 결손 등을 담당한다.
경비사
[편집]경비사(經費司)는 수도에서의 지출 경비, 왜인(倭人)에 대한 식량 배급 등을 담당한다.
호조 소속 관청
[편집]호조의 소속 관청인 속아문(屬衙門)은 아래와 같다.
각주
[편집]- ↑ 박석무 (2003년 10월 15일). 〈역사용어 풀이〉. 《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만나다》. 서울: 한길사. ISBN 978-89-356-5524-3.
- ↑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재무부와 생계부로 역시 호조의 기능이 분리되었다가 광복 후에는 미군정 재무국으로 그 기능이 합쳐졌고 이후 미군정 재무부를 거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이승만 정부에서는 재무부가 호조의 기능을 이어받았다. 그러다가 군사정권(박정희-전두환-노태우) 때는 재무부와 경제기획원이 호조의 기능을 분담하면서 이어받았고 김영삼 정부 때는 다시 통합되었다가 김대중 정부 때는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다시 분리되면서 호조의 기능을 이어받았다. 현재는 기획재정부가 호조의 기능을 이어받는 형태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