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영덕 단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덕 단층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과 영덕 단층(N10˚E/29˚NW), 울진군 온정면 조금리
좌표북위 36° 39′ 47.1″ 동경 129° 20′ 00.3″ / 북위 36.663083° 동경 129.333417°  / 36.663083; 129.333417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지역영남 지방
경상북도
영덕군, 울진군
단층 특성
주향남-북
경사북서, 남동
변위량우수향 6.7 km (장기홍 외, 1990)
8.1 km (청량산층)
우수향 4.6 km(영덕 심성암체와 하양층군)
우수향 5.0 km (하양층군과 백악기 온정리 화강암)
우수향 4.7 km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고원생대 변성암)
지구조
상태유라시아판, 아무르판
지진없음
이동방향좌수향 후 우수향
암석단위쥐라기 영덕 심성암체, 경상 누층군
활동시기중생대 이후

영덕 단층(Yeongdeok Fault, YDF)은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에서 울진군 온정면까지 약 40 km 연장되는 북북서-남남동 또는 남-북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 양산 단층의 가지단층이다.

연구

[편집]

영덕 단층은 일본인 지질학자 노부히로 하타에(Nobuhiro Hatae, 波多江信廣)의 영덕-영해 지질도폭(1937)에서 처음으로 인지되었으나 이북의 평해 지질도폭 상으로 연장되지 않는다고 기재했다.[1]

장기홍 외(1990)는 경상 분지 동부 지역의 층서 및 지사 연구를 통하여 영덕 단층은 포항시 북구 포항시에서 양산 단층으로부터 분기하며 6.7 km의 우수향 주향 이동 운동을 하였다고 설명하였다.[2]

강희철 외(2018)에 의하면 영덕군 지역에서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 청량산층, 도계동층, 기사동층은 영덕 단층의 서부에만 분포하며 가송동층은 영덕 단층 인근에서 지층의 주향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단층의 주향에 아평행하게 배열되는 양상을 보인다고 설명했다.[3]

서경한 외(2019)에 의하면 영덕 단층이 영덕군 강구면 일대에서 양산 단층으로부터 분기되며, 화천리에서 YDF-2, YDF-3 두 조의 단층으로 분기된다. YDF-2는 영덕읍 화천리 이남에서 분기되는 두 단층 중 서편의 단층으로 북동 내지 북북동과 북북서 방향의 분절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어지며 백악기 퇴적암 및 화산암을 절단하고 양자의 경계를 형성한다. YDF-3은 영덕읍 화천리에서 영덕읍소재지를 지나 남남동쪽으로 강구면까지 약 12 km 연장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영덕 단층 양편의 경상 누층군 동화치층, 가송동층, 청량산층, 도계동층의 주향이 단층 인접부에서 대부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단층의 우수향 주향이동 운동을 지시한다. 또한 청량산층 하부 역암을 기준으로 약 8.1 km의 우수향 수평변위를 보고하였다. 단층암의 대자율 이방성(AMS) 조사 결과 영덕 단층은 좌수향과 우수향의 주향이동 운동을 모두 겪었으나 단층암에는 좌수향보다 우수향의 주향이동 운동에 의한 변형이 더 강하게 남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자들은 백악기 말 북서-남동 방향의 최대수평응력 하에서 좌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고, 44~25 Ma의 북동-남서 방향 최대수평응력 하에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은 운동사를 제시하였다.[4]

김광연(2023)에 의하면 영덕 단층의 수평 변위는 트라이아스기 내지 쥐라기 영덕 화강암과 하양층군의 경계 기준 우수향으로 약 4.6 km, 하양층군과 백악기 온정리 화강암의 경계 기준 우수향으로 약 5.0 km, 하양층군과 고원생대 변성암의 경계 기준 우수향으로 약 4.7 km이다. 영덕 단층은 울진군 온정면 소태리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굴곡하여 울진군 기성면 방율리로 연장되는 단층과 남-북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발달하여 울진군 매화면 길곡리 일원까지 연장되는 단층으로 분기된다. 울진군 지역의 평해 지질도폭에서 서화산 단층으로 명명된 단층의 자취가 영덕 단층과 연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영덕 단층은 백악기 말에 좌수향 주향 이동 운동을 하였고 44~23 Ma 사이에 우수향 주향 이동 운동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5]

신원정과 김종연(2024)에 의하면 영덕군 창수면 일대에 발달하는 하천 송천의 중상류는 영덕 단층을 따라 곡지(谷地)가 형성되어 있으며, 송천의 상류 부분은 영덕 단층 주변에 형성된 단층손상대를 따라 침식이 일어나고 있어 송천의 곡지가 영덕 단층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석했다.[6]

통과 지역

[편집]

영덕 단층의 통과 지역은 다음과 같다.[7]

양산 단층에 합류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 영덕읍 구미리 - 화천리 - 축산면 대곡리 - 칠성리 - 영해면 묘곡리 - 창수면 가산리 - 미곡리 - 삼계리 - 울진군 온정면 조금리 - 온정리 - 소태리 - 기성면 방율리

노두

[편집]

조금리 지점

[편집]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조금리, 국지도 제69호선 도로변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울진군 온정면 조금리 간의 국지도 제69호선은 1차선 비포장 도로이고 도로변에 영덕 단층의 노두가 가송동층과 함께 드러나 있다. 북위 36° 39′ 46.68″ 동경 129° 20′ 00.46″ / 북위 36.6629667° 동경 129.3334611°  / 36.6629667; 129.3334611 지점의 이 노두는 김광연(2023)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YDF 2-5 노두로 기재되었다. 이 단층은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을 절단하는 단층으로, 상반은 황갈색 세립질 사암, 하반은 암회색 이암을 따라 발달한다. 단층핵은 1 cm 미만의 단층비지로만 구성되며 하반에는 단열(Fracture)을 따라 광맥이 형성된 것이 관찰되어 단층활동 당시 혹은 그 이후에 열수 작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운동감각은 우수향 주향이동 운동을 지시한다.

영덕 단층의 노두[4][5]
위치 좌표 지질 주향[8] 경사 성향 단층핵 비고
울진군
기성면 방율리 (YDF 4-1) 북위 36° 49′ 19.64″ 동경 129° 22′ 20.25″ / 북위 36.8221222° 동경 129.3722917°  / 36.8221222; 129.3722917 고원생대 우백질 화강편마암 북동 24° 북서 70° 판정불가 5.7m
온정면 소태리 (YDF 3-5) 북위 36° 43′ 58.33″ 동경 129° 20′ 05.39″ / 북위 36.7328694° 동경 129.3348306°  / 36.7328694; 129.3348306 백악기 화강암 (서) 하양층군 (동) 북동 26° 남동 54° 우수향 주향이동 11.0m
온정면 백암운동장 북쪽
(YDF 3-3, 3-4)
북측 북위 36° 43′ 53.64″ 동경 129° 20′ 05.52″ / 북위 36.7315667° 동경 129.3348667°  / 36.7315667; 129.3348667
남측 북위 36° 43′ 49.08″ 동경 129° 20′ 05.82″ / 북위 36.7303000° 동경 129.3349500°  / 36.7303000; 129.3349500
하양층군 및 백악기 화강암 북동 19°
북동 1°
남동 83°
남동 74°
좌수향 및 우수향 주향이동 0.4m
3.7m
온정면 소태리 (YDF 3-2) 북위 36° 43′ 19.65″ 동경 129° 20′ 01.87″ / 북위 36.7221250° 동경 129.3338528°  / 36.7221250; 129.3338528 하양층군 (서) 백악기 화강암 (동) 북동 1° 북서 77° 우수향 주향이동 3.5m 퇴적암에 전단운동 집중
온정면 온정리 (YDF 3-1) 북위 36° 42′ 59.07″ 동경 129° 20′ 00.34″ / 북위 36.7164083° 동경 129.3334278°  / 36.7164083; 129.3334278 하양층군 (서) 백악기 화강암 (동) 북동 1° 남동 78° 판정불가 3.3m
온정면 온정리 온정저수지 (YDF 2-4) 북위 36° 42′ 27.55″ 동경 129° 19′ 30.29″ / 북위 36.7076528° 동경 129.3250806°  / 36.7076528; 129.3250806 하양층군 사암과 이암 교호 북동 1, 6, 3° 북서 78, 81, 77° 판정불가 20cm 이내 주 단층에서 1km 서쪽에 있어 부차단층으로 추정
온정면 조금리 (YDF 2-3) 북위 36° 40′ 26.13″ 동경 129° 20′ 03.19″ / 북위 36.6739250° 동경 129.3342194°  / 36.6739250; 129.3342194 하양층군 암회색 사암 북서 6° 남서 88° 판정불가 4.0m 이상 YDF 2-2 노두에서 북쪽으로 85 m
온정면 조금리 (YDF 2-2) 북위 36° 40′ 15.94″ 동경 129° 20′ 04.30″ / 북위 36.6710944° 동경 129.3345278°  / 36.6710944; 129.3345278 가송동층 회백색/녹회색 사암 북동 1° 남동 76° 우수향 및 좌수향 주향이동 1.3m YDF 2-1 노두에서 북쪽으로 330 m
온정면 조금리 (YDF 2-1) 북위 36° 40′ 07.72″ 동경 129° 20′ 03.24″ / 북위 36.6688111° 동경 129.3342333°  / 36.6688111; 129.3342333 가송동층 암회색/회백색 사암 북서 1° 북동 83° 우수향 및 좌수향 주향이동 8.0m
온정면 조금리 (YDF 2-5) 북위 36° 39′ 46.68″ 동경 129° 20′ 00.46″ / 북위 36.6629667° 동경 129.3334611°  / 36.6629667; 129.3334611 하양층군 황갈색 세립사암(상반)
암회색 이암(하반)
북동 10° 북서 29° 우수향 주향이동 1cm 미만 하반에서 단열을 따라 광맥 형성
영덕군
창수면 신기리 (YDF 1-1) 북위 36° 32′ 25.85″ 동경 129° 20′ 42.25″ / 북위 36.5405139° 동경 129.3450694°  / 36.5405139; 129.3450694 트라이아스기/쥐라기 영덕 화강암 북서 2° 북동 75° - 0.8m
축산면 칠성저수지 (YDF 1-A) 북위 36° 29′ 52.90″ 동경 129° 20′ 40.63″ / 북위 36.4980278° 동경 129.3446194°  / 36.4980278; 129.3446194 트라이아스기 영덕 화강암 북측 북동 12/32°
남측 북서 9°
북측 남동 82/70°
남측 북동 69°
좌수향 후 우수향 주향이동 1.1m
1.8m
단층손상대 내 방해석 광맥
영덕읍 화천리 (YDF 1-B) 북위 36° 28′ 38.53″ 동경 129° 20′ 39.91″ / 북위 36.4773694° 동경 129.3444194°  / 36.4773694; 129.3444194 영덕 화강암 (서) 하양층군 (동) 북서 8° 남서 65° 우수향 주향이동 2.5m
지품면 삼화리 (YDF 2-C) 북위 36° 28′ 40.81″ 동경 129° 20′ 32.61″ / 북위 36.4780028° 동경 129.3423917°  / 36.4780028; 129.3423917 경상 누층군 (서) 영덕 화강암 (동) 북동 12°
북동 22°
북서 75°
남동 67°
15m 단층핵에 인접한 경상 누층군은 단층과 유사한 자세로 회전되고 경동
영덕읍 화천리 (YDF 2-D) 북위 36° 27′ 04.72″ 동경 129° 21′ 08.10″ / 북위 36.4513111° 동경 129.3522500°  / 36.4513111; 129.3522500 영덕 화강암, 경상 누층군 북서 1° 북동 80° 3.8m 이상 YDF 2-C 지점에서 남쪽으로 약 500 m 지점
화강암 단층손상대 내 열수작용으로 주입된 광맥
영덕읍 구미리 (YDF 2-E) 북위 36° 26′ 46.99″ 동경 129° 21′ 03.23″ / 북위 36.4463861° 동경 129.3508972°  / 36.4463861; 129.3508972 영덕 화강암, 경상 누층군 북서 7° 북동 68° 3.9m 상당히 먼 지역에서 끌려온 것으로 추정되는 데사이트질 화산암 발견
강구면 상직리 (YDF 2-F) 북위 36° 23′ 22.99″ 동경 129° 21′ 12.52″ / 북위 36.3897194° 동경 129.3534778°  / 36.3897194; 129.3534778 백악기 퇴적암과 화산암 북서 33, 26, 28, 26° 북동 57, 63, 45, 55° 3m 이상
영덕군 영덕읍 남산리 북위 36° 22′ 38.72″ 동경 129° 22′ 04.79″ / 북위 36.3774222° 동경 129.3679972°  / 36.3774222; 129.3679972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 북서 39° 북동 54° -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노부히로 하타에 (1937년). “朝鮮地質圖. 第18輯 : 寧海 及 盈德 圖幅”.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2. 장기홍; 우병걸; 이진형; 박순옥; Akira Yao (1990년 10월). “Cretaceous and Early Cenozoic Stratigraphy and History of Eastern Kyŏngsang Basin, S. Korea (경상분지 동부의 백악기 및 전기신생대 층서 및 지사)”. 《대한지질학회26 (5): 471-487. 
  3. 강희철; 천영범; 하상민; 서경한; 김종선; 신현조; 손문 (2018년 9월). “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Geology and U-Pb Age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Korea)”. 《한국암석학회》. 153-171쪽. doi:10.7854/JPSK.2018.27.3.153. 
  4. “한반도 동남부 백악기 경상분지 내 영덕단층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Yeongdeok Fault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SE Korea)” (PDF). 《한국암석학회》 28 (3): 171-193. 2019년. doi:10.7854/JPSK.2019.28.3.171. 
  5. 김광연 (2023년). “영덕단층 북부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Northern Part of Yeongdeok Fault)”. 부산대학교 대학원. 
  6. 신원정; 김종연 (2024년 9월). “영덕 송천 중·상류의 하천 지형 발달 연구 (Study of Fluvial Geomorphic Development of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Yeongdeok Songcheon River)”. 《한국지형학회》 31 (3): 59-79. doi:10.16968/JKGA.31.3.59. 
  7.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